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레이저를 이용한 금속 적층제조기술의 최신 동향

전문가 제언

세계의 금속 AM(Additive Manufacturing) 장치(3D 프린터) 보급대수는 최근 급속한 증가추세로서 2013340, 2014640대에서 2015년에는 천 수백대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으며, 메이커들은 증산체제를 갖추었다고 보고했다( Wohlers Report 2015). 이것은 특히 금속 AM산업의 확산추세와 관련이 있다.

 

금속 3D 프린터는 고속화고정밀화대형화 추세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요소기술로서 레이저나 전자빔과 시뮬레이션기술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최근 레이저용융 3D AM시스템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독일, 미국, 영국 메이커 외에 중국과 대만 등 아시아 메이커들이 레이저 열원을 채택하는 3D 프린터개발 생산이 증가하는 추세다.

 

일본이 세계 톱수준의 3D 프린터 개발을 목표로 추진 중인 국가프로젝트 차세대 산업용 3D 프린터 기술개발”(TRAFAM 프로젝트)에서는 금속 3D 적층조형장치의 용융 에너지원으로 전자빔 및 레이저빔 2개의 열원을 동시에 개발하는 2트랙 전략이 진행 중이다. 한편으로는 공작기계메이커를 중심으로 레이저 열원의 AM기술절삭기술을 복합한 하이브리드 장치개발도 주목을 끌고 있다.

 

현재 AM에 관한 ASTM7개 카테고리 중 3(DED, PBF, VP)가 레이저 기반기술로서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더욱 강력한 레이저(전기-광에너지 변환효율이 우수하고 프로세스 제어가 좋은 것)가 등장하면 기존 적층제조의 단점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도 최근 금속 AM을 위한 DED, PBF, ME용 장비공정재료개발 국가 R&D프로젝트가 출범했고, 3D 프린터의 산업응용 역시 빠르게 확산되는 추세다. 레이저기기(발진기/응용) 시장규모는 2014년 약 1조원을 상회하는 규모다. 향후 AM 레이저의 수요증가에 대응하는 국내 레이저산업 발전전략의 하나로 국가 AM산업/기술개발사업에 레이저를 비롯한 용융열원 기술개발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저자
KYOGOKU Hidek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6
권(호)
82(7)
잡지명
精密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619~623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