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정의 스마트 홈
- 전문가 제언
-
○ 스마트 홈은 실내에 있는 스마트 기기(가전제품, 조명, 센서, 보안 등)를 서로 연결하여 원격 또는 자동 제어하는 사물 인터넷 기술 기반 시스템이다. 스마트 홈은 통신, 센서, 건축, 가전, 보안, 전력, 의료 등 다양한 산업기술이 통합되어 구현되는 홈서비스로서 조만간 인간생활의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 스마트 홈 구축의 난제는 스마트 하드웨어 증감 및 추가, 사용자 요구 변경 등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SDN의 중앙 집중적이고 개방적이며 가상화가 가능한 특성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정의 스마트 홈(SDSH) 구조가 제안되었다.
○ 최근 우리 군의 병영생활 현대화사업으로 내무반의 기본 생활환경은 크게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훈련과 일상 업무 효율향상을 위하여 미래 지향적인 스마트 내무반 구축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내무반 환경이 개선될수록 개인 안전사고 감소 및 전투력 향상이 자명하므로 특정 부대를 선정하여 부대환경과 병과 등을 고려한 스마트 내무반 시범사업 추진이 요구된다.
○ 스마트 기기의 증가는 스마트 홈 개발을 촉진하고 있으며 관리를 위한 플랫폼 개발은 당면한 주요 과제이다. 개방성은 SDSH 플랫폼의 주요 특성으로 이기종(異機種) 플랫폼과 상호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가상화 기술은 이기종 시스템과 이기종 프로토콜에 의해 야기되는 이중성과 복잡성을 감소하여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통합한다.
○ SK텔레콤, KT, LGU 등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스마트 홈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하여 치열한 경쟁을 시작하였으며 차별화된 사물인터넷 기술을 도입하여 새로운 시장개척을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실내 특정 활동의 서비스제공 보다 미래 지향적인 시스템 관점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며 사용자의 특성과 환경에 따른 홈서비스가 가능한 SDSH 구조연구가 우선되어야 한다.
- 저자
- Ke Xu, Xiaoliang Wang, Wei Wei, Houbing Song, Bo Ma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54(5)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16~122
- 분석자
- 조*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