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인리스강의 용접재료
- 전문가 제언
-
○ 스테인리스강은 선박?해양구조물, 에너지산업, 화학?제철공업, 건축물 등과 같은 중화학산업에서 내식성과 내열성이 요구되는 각종 설비와 장치의 제작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Cr, Ni, Mo 등이 첨가되는 고합금강인 스테인리스강을 용접할 때는 화학성분, 기계적 성질,고온균열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용접재료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오스테나이트계 STS304, STS316, STS316L 스테인리스강 용접부의 입계부식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안정화원소 Ti, Nb를 함유한 용접재료나 탄소함유량이 0.03% 이하로 낮은 용접재료를 선정해야 하며, 용접금속에서 고온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5~10% 정도의 δ-페라이트를 함유할 수 있는 용접재료가 필요하다.
○ 용접재료의 선정작업에서는 모재와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화학성분, 인장강도/항복강도/인성(샤르피 충격치) 등의 기계적 성질, 용접장비와 공정의 종류, 용접자세, 이음부의 형상, 용접구조물의 용도와 사용환경, 작업성(operability), 용접능률(efficiency), 용접부 품질(quality) 등을 충분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 스테인리스강/연강의 이종재료 용접부의 내식성을 확보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스테인리스강 모재와 용접금속에 대한 용접입열량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용접입열량을 제한하면 용착된 용접금속과 연강과의 희석률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용착금속 중의 합금성분이 줄지 않고 유지되면서 용접부의 내식성을 원하는 수준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 조선분야에서 비중이 높은 용접기술에서 모재에 적합한 용접재료를 찾는 것은 용접기술자의 중요한 업무이다. 이 자료에는 다양한 종류의 스테인리스강 용접재료 선정요령이 정리되어 있으며 국내의 스테인리스강 선박구조물 용접품질을 선진기술국 수준으로 높이는데 매우 유익하다. 그러므로 용접품질 확보를 주요 업무로 담당하는 용접기술자들은 URL에 접속하여 스테인리스강 용접재료를 선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인 전문을 입수하여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 저자
- Jay Coubrough and Karin Ivarsso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95(7)
- 잡지명
- Welding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2~36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