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G/DSC를 이용한 염소산칼륨 열분해 기구 연구
- 전문가 제언
-
○ 이란의 University of Technology의 M. RAVANBOD 등은 염소산칼륨의 열적거동을 TG/DSC 기법을 이용하여 상이한 온도 하에서 조사하였다. DSC의 온도 분포는 2 개의 연속적인 넓은 발열 피크와 그리고 DTG 결분 석과는 용융한 다음 두 단계의 질량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염소산칼륨의 열분해 과정은 두 단계의 질량 손실과 더불어 세 단계의 분해기구가 작용함을 보여 주었다.
○ Hosseini S.G 등은 염소산칼륨과 과염소칼륨의 열분해 시험에서 점화온도는 각각 472 및 592 ℃로 측정했다고 보고했고, 염소산칼륨과 자당 혼합물에 대한 점화 온도는 180 ℃로 낮아 졌다. 그러나 염소산칼륨을 과염소산칼륨으로 대체했을 때는 점화온도가 200∼410 °C의 안전한 온도 범위로 올라가 정전기 같은 우발적인 사고로 인한 혼합물의 활성화를 방지할 수 있었다.
○ Hosseini S.G의 또 다른 보고에 의하면, 여러 온도에서의 재결정으로 다양한 크기의 염소산칼륨 입자의 제조 과정에서, 가는 입자를 얻는데 사용되는 조건 때문에 결정의 불균일성, 균열 그리고 다른 결함을 포함하여 불완전한 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가는 입자는 이런 결함이 더 많기 때문에 입자의 크기가 감소할 때에는 반응성이 증가하고, 점화 온도는 저하한다. 염소산칼륨은 100∼250 ㎛ 범위의 입자 크기가 화공품 적용에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M. RAVANBOD 등의 연구 결과, 염소산칼륨의 DSC 분석 결과에서 3-가지 반응은 2KClO3 → 2KCl + 3O2 (I), 4KClO3 → 3KClO4 + KCl (II), KClO4 → KCl + 2O2 (III)와 동역학 3-쌍에 대한 평균 활성화 에너지는 237.3, 293.8 그리고 231.3 kJ/mol이었고, DTG 결과의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질량 손실에 대한 평균 활성화 에너지는 각각 231.0, 239.9 kJ/mol 이었다.
- 저자
- Mohsen RAVANBOD et l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13(2)
- 잡지명
- Central European Journal of Energetic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505~525
- 분석자
- 박*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