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오스테나이트계 내열강의 시효경화 거동에 미치는 P의 영향

전문가 제언

오스테나이트계 내열강에 일정량 이상의 P을 첨가하면 P량의 증가에 따라 피크시효의 경도는 증가하고, 과시효의 연화량도 증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입내탄화물의 MDP(Matrix Dot Precipitation)형성에 필요한 P량에는 임계치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MDP의 조직안정성에 대하여도 P량이 존재하는 것을 암시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P의 존재 상태에서 PMDP와 달리 효과를 주로 핵생성단계에 착안하여 고찰하였지만, P의 첨가가 탄화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도 나타내었다. 일단 탄화물이 형성되면 PM C 중에는 고용하지 않고, 그 주위에 농화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 점에 관하여 TEM이나 3차원 아톰프로브 등을 이용한 보다 상세한 해석을 필요로 하고, 이들의 검정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오스테나이트계 내열강에 대하여 침입형 고용원자와 치환형 고용원자의 화학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생성된 용질분위기가 전위의 운동을 방해함으로 발생하는 지연응력(dragging stress)에 의해 고온특성을 향상시키는 과제를 오래 전부터 Monma 등에 의해 제안되었다. 지금까지 Cr, Mo 등을 함유하는 저합금강에 C N를 첨가하여 고온특성을 효과적으로 강화시켰으나 P첨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스테나이트계 내열강에 P첨가에 의해서 탄화물이 입내로 미세균일석출의 촉진과 그 탄화물의 성장의 억제로 파괴의 기점으로 되는 입계에서의 괴상탄화물의 억제시킨 연구결과가 소개되어, 향후 국내 철강제조관련 기업체에서 경제적인 제조비용으로 오스테나이트계 내열강에 대한 제조기술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Katsuhiko OHIS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102(7)
잡지명
鐵と鋼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89~395
분석자
김*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