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시스템의 목적 기반 디바이스 설정
- 전문가 제언
-
○ IoT와 CPS에 대한 센서 및 기기, 통신 네트워크, 플랫폼, 서비스분야의 개별 보안 대책과 함께 전체 통합 기반 시스템의 융합보안이 강조되는 시점이다. 센서 및 디바이스 측면에서 자원 제한성에 기인한 경량화 및 저 전력 구조의 암호 하드웨어 모듈 및 소프트웨어의 SoC화와 디바이스 간 실시간 인증, 이상탐지 모니터링 및 복구 기술개발이 필요하고, 네트워크 측면에서 이기종 네트워크의 망 구성 및 인증의 이상탐지와 보안 게이트웨이의 저 전력 경량화 구성기술과 알고리즘 개발이 필요하며, 플랫폼 측면에서 데이터전송의 진위와 신리도, 기기 간 지능적 정보교류, 식별 및 필터링 보안기술의 개발 강화가 필요하다.
○ IoT 구성 요소별 세계시장 성장은 서비스, SW, 네트워크, 디바이스 순으로 서비스와 SW는 2020년까지 각각 연평균 122%, 89%, 21%,11%씩 성장 전망이다. 국내시장 성장은 4개 분야 평균 33%수준으로 보고된바 있다. 세계 평균보다는 높으나 분야별 추세에 통찰이 필요하다. 국내의 IoT 전략방향은 디바이스 네트워크 개발을 병행하되 SW와 서비스 솔루션에 좀 더 비중을 둬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알고리즘 및 SW개발이 핵심으로 판단되므로 차별성 부가를 위한 실천계획이 요구된다.
○ IoT 네트워크에 대한 보안 게이트웨이, 공격방지 기술 등은 초기 연구단계이며, 서비스플랫폼 관련하여 기기 인증 및 접근제어 기능을 가진 IoT 플랫폼의 국내 개발에도 기기인증, 부인방지 및 개인 보호를 위한 국내 서비스보안 플랫폼 수준이 미흡하다는 평가이다. IoT 서비스 기기, 사용자, 서비스 간 상호 인증, 접근제어와 개인의 위치, ID, 데이터에 대한 보호 기능 제공을 위한 기술과 비인가 접속을 차단할 기기 간 인증, 키 관리 및 접근제어 기술 등의 개발 강화가 필요하다.
○ IoT환경의 가변성과 서비스 무정지 대응 및 효율성을 위해 기기 그룹화와 대표 및 대체기기의 설정과 차별성 알고리즘 개발에 의한 상용화 도전이 필요하다. 저 전력 네트워크, 처리 능력과 속도 등 자원 제약적인 IoT의 구성에서 패킷 단편화 및 조립, 헤더압축, 주소생성 및 설정, 캐스팅에 의한 네트워크 관리, 게이트웨이에 의한 라우팅관리의 고도화가 필수적이다.
- 저자
- MCAFEE,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153717
- 잡지명
- PC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6
- 분석자
- 박*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