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Staphylococcus aureus 감염 잠재성 유방염에 대한 tylosin효과

전문가 제언

유방염은 젖소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질병으로 우리나라와 일본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발생분포를 보이고 있을 뿐만이 아니고 최근에는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낙농가에게 유방염은 공포의 대상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관계로 세계 각국은 물론 국내에서도 유방염 예방에 지대한 관심을 가져 다양한 연구와 사육환경 개선 등에 대한 부단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마땅한 대처방안이 마련되지 않아 예찰과 조기치료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유방염은 유선에의 물리적, 화학적, 미생물학적 요인 등에 의한 염증성 변화로 일반적으로는 유방내에 침입한 미생물 증식에 의한 유선조직 염증으로 유즙분비 세포벽 투과성이 항진되어 이상유 분비, 체세포수 증가에 이어 유즙분비세포의 손상, 위축 등으로 비유량 감소 또는 중지로 많은 경제적 피해를 주게 되는 임상형 유방염에서는 유방의 종장, 열감, 통증 등을 수반하나 많은 경우의 잠재성 유방염에서는 유방촉진이나 유즙의 육안적 검사로는 알 수 없어 어려움이 있다.

 

유방염의 원인으로 가장 일반적인 것은 세균의 유두구(乳頭口)칩입에 의한 감염으로 여기에는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actinomyces, mycoplasma등과 곰팡이 등 매우 다양하나, 특히 Streptococcus aureus감염 유방염에서는 바이오필름을 형성하는 관계로 여러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이 낮아 난치병으로 알려져 치료에 어려움이 많았으나 macrolide계의 tylosin의 유방 내 투여에 의한 건유기 유방염 치유효과에 대한 검증결과 효과 입증은 매우 바람직한 연구 성과로 여겨진다.

 

국내에서는 1900년대 말부터 국가적인 유방염 방제 프로그램을 수행해 오고 있으나 유방염 특히 잠재성 유방염 발생은 줄지 않고 있어 안타까운 실정이다. 개체별 능력에 맞추어 사육하고 있는 선진국에서도 잠재성 유방염 발생률은 40% 정도로 높다. 국내와 같이 무리하게 비유량 높이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환경에서는 근절하기 매우 어려운 질병이기에 소의 능력에 맞게 관리하고 아울려 우사의 구조, 사료, 착유위생 등의 최적화로 잠재성 유방염 발생 최소화에 대한 노력이 절실하다.

저자
Asako Haraguchi, Tetsuo Ota, Keiji Nakatani, Yasuhiro Kamioka, Taizo Takeuchi, Tomoyasu Kurose, Naoki Suzuki, Tsuneo Higaki, Souhei Kaneko, Yasunori Sibozuk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63(6)
잡지명
家畜診療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49~353
분석자
강*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