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스마트 IOT 웨어러블

전문가 제언

공개가능 ID인 명함 교환이 개인 홍보나 알림의 단 방향적 차원보다는 양방향 소통이 궁극적 목적인 경우 대부분 상호 교류를 위한 정보 공개 양과 방법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전자명함과 활용 앱, 스마트 미디어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이 객체간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통합 개념으로 진화 중이나 산업적 활성화는 완만한 추세이다. IoT와 IoE 환경에서 객체인 개인별 식별과 사회적 상호작용 및 교류는 상호식별과 필요정보의 공유 과정이며, 객체별 스마트 ID에 의한 맞춤형 필요정보의 상호 가시화와 운영기술의 구현은 가속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으나 실제의 사업화 모델링의 특이 추세를 발견하기 어렵다. 스마트 ID 솔루션 수급자 모두 콘텐츠와 서비스 개발에 분발이 필요하다.

 

본고 기술은 스마트 ID의 응용기술 요소 측면보다 기업조직의 부서나 개인수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실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스마트ID의 응용분야와 응용대상을 새롭게 제시한데 검토해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즉 기존의 스마트 ID 태그의 출입 보안적인 용도 이외에 조직 변동환경에 따른 구성원들의 행위 위치 및 시간소모에 대한 패턴 분석이나 연구를 통해 기업차원의 조직 시너지를 추구하려는 점이 기존의 응용대상 및 모델과 차별적이다. 스마트 뱃지에 스마트ID를 적용시킨 아이디어는 특이하지 않으나 기존 스마트ID의 사용 목적성 대비 과도한 사양의 경제성을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응용 아이디어를 제시한데 특징이 있다. 동적 스마트 ID의 위치 및 시간 기반 알고리즘 개발의 고도화가 요구된다.

 

IoT와 IoE 환경에서 커넥티비티의 기본은 ID이나 ID 식별대상에 대한 인식수준은 매우 이질적인 현실이다. 기술개발 중점이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서비스플랫폼 기술로 천이되거나 실체적 구현범위 확대를 위한 객체 추적기술이 IP기반에서 ID기반으로 병행 혹은 천이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실 및 가상객체, 콘텐츠 및 서비스 객체, 유무형 객체, 이동 및 동적객체 등을 포괄하는 객체의 스마트ID 운영은 아직 제한적인 면이 있다. 대폭의 비용 증가 없이도 기존 배치 기술의 활용 범위를 증가시키는 활동이나 스마트ID 변환기술 및 표준화 체계 개발이 필요하며, 스마트ID의 추진과 응용도 적합성과 경제성이 필요하다.  

저자
APPLIED MATERIALS, IN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6
권(호)
WO20160140984
잡지명
PCT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8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