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독성 살충제의 작용기작 연구
- 전문가 제언
-
○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살충제는 해충신경계를 작용점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전압민감성나트륨통로(voltage-sensitive sodium channel, Vssc )와 니코틴아세틸콜린수용체(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nAChR)에 작용하는 살충제 작용기작을 비롯하여 해충의 저항성메커니즘을 주로 전기 생리학으로 검토하였다.
○ 살충활성을 갖는 화합물의 작용기작 연구범위는 분자생물학, 생화학, 결합측정, 형광염료를 이용한 광학방법 및 전기 생리학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전기 생리학은 이온통로나 수용체의 작용기작 혹은 작용영향을 보다 상세하게 검증할 수 있는 것은 전류변화를 검출하여 화합물의 영향을 동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본고에서는 A. aegypti의 pyrethroid계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을 비롯하여 A. gossypii의 neonicotinoid계 살충제 저항성 메커니즘을 검토하였고 이어서 천연물 asperparaline A의 살충활성 작용기작을 명확히 규명하였다.
○ 또한 서브유닛은 다소차이가 있으나 동일한 타깃에 상호작용하는 유사한 화합물은 작용점의 상이한 아미노산 잔류기 즉 상이한 분자타깃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입증하였다. 특히 천연물 asperparaline A는 곤충의 이온통로에 특이활성과 선택성을 확인한 것은 주목해야 할 사안이다.
○ 본 살충제 저항성과 관련된 최근의 국내연구 동향을 보면 복숭아혹진딧물 야외개체군의 살충제 저항성 마커 선발을 비롯하여 주요 감염병 매개체들에 대한 살충제 저항성 모니터링 및 식물체 유래 활성 물질들을 이용한 저항성 관리 전략과 감귤 응애류에 대한 친환경자재 시험 및 유기인계살충제 저항성 계통 선별 등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천연물 asperparaline A에 관한 연구사례는 아직 없다.
- 저자
- K. Hirat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41(3)
- 잡지명
-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87~94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