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염화물계 전해 채취욕에서 얻은 전석Ni명도 가 표면성상에 미치는 불순물의 영향

전문가 제언

Ni의 제련법은 건식법과 습식법으로 나누며 습식법은 건식법으로 제련한 조금속을 Ni염 수용액 전해욕에서 전기분해 하여 정련하는 방법과 Ni염 수용액에 양극과 음극전극에 통전하여 목적하는 금속을 전해채취하는 방법으로 금속을 제조한다. 한편 전기도금도 금속의 정련법과 전해채취법과 같은 방법으로 장식 도금이나 기능 도금을 한다. 본고는 염화물계 전해채취욕에서 전해 석출하는 Ni의 명도, 표면성상에 미치는 불순물의 영향에 대한 것으로써, 도금원리에 대한 중요한 기술이다.       

Ni의 전해채취에서는 Ni황산염수용액을 원료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전해조의 재질이 목재, 금속. 플라스틱 등은 황산 용액에 취약하기 때문에 공업적 전해조는 콩크리트제 FRP라이닝 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본고는 Ni염화물원료로 전해채취하는 특징이 있으므로 전해조 선택폭이 넓은 특징이 있다.

Ni전해채취 시에 전석Ni의 명도 또는 광택도에 미치는 Mn, Cr 또는 SO4 이온 등의 불순물 영향에 대하여 Ni전석 전류효율 저하, 명도 증감, 또는 SO4이온농도가 높아지면 Ni전석 과전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전석Ni의 표면이 평활하게 되어 명도가 증가한다는 실험적 데이터 등은 전기 도금이나 무전해 도금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전해채취, 도금 및 무전해 도금 원료 수용액은 필히 정제가 필요하다.

원료를 NiCl2수용액을 이용하여 전해채취한 전석Ni, Ni양극을 피도금체에 도금한 전기도금과 무전해 Ni 도금의 표면은 겉보기 색도로 식별하기 곤란하므로 식별하는 방법은 Ni도포된 시료를 트리크로로에탄 등으로 탈지한 다음 질산 한방울 떨뜨려서 5분간 건조시켜서 생긴 반점이 흑색이면 무전해 Ni, 회색이면 전석Ni이다.

우리나라의 전해채취하는 회사는 고려아연이 Zn 전해채취법으로 아연을 생산하고 있고, Ni전기도금은 삼성전기, (주)NEOMAX 등 다수 있으며 대형 장식품에서 금형, 전자제품 등에 전기도금하고 있으며 이 계통의 도금이론과 실기를 병용하는 기술개발이 진전되기를 제언한다.

저자
Yuki Sat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80(8)
잡지명
日本金屬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39~545
분석자
황*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