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기능 탄소나노튜브 원사로 보강된 부품의 3D 프린팅
- 전문가 제언
-
○ 연속인 CTN(carbon nanotube: 탄소 나노튜브) 필라멘트 실(yarn)은 적층제조(3D 프린팅)을 위한 선천적으로 다기능인 공급 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이 재료로 부품에서 다기능을 전달하는 단일 재료를 사용하고 전통적인 제작기술에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로 제공되는 적응성의 장점을 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 적층으로 제조되는 기능제품의 제작과 특성화를 통하여 고도처리와 함께 최근의 재료를 결합에 관련된 도전을 설명한다. Ultem® 견본에 강화된 연속 CNT 실은 그 기계적이고 전기적인 성질을 결정하기 위하여 특성화한다. 다기능 부품을 제작하는 정형을 제조하는 가능성은 Ultem®을 사용하여 쿼드콥터(quadcopter) 프레임을 적층으로 제조하는 것을 Ultem®으로 강화된 연속 CTN 실로 입증한다. 또한 모터로 전류를 보내는 전기전도체처럼 작동하도록 CNT 실의 증강을 디자인한다.
○ 이 문헌이 제시한 결과는 기능의 다양성을 주기 위하여 CNT 실사용에 대한 잠재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CNT 실로 입증된 융통성은 제공하지 않지만 제안하는 새로운 기법은 이 문헌의 결과에서 획득된 다수 재료형태의 사용에서 발생하는 계면(界面: interfacial) 도전의 수를 감소하게 한다.
○ 3D 프린팅 기술은 디지털 기술과 함께 30여년의 역사를 갖은 것으로 CAD 기술 표현기법으로 발전하여 와서 아직도 보완해야할 부분이 많다. 이 문헌은 CNT 실 필라멘트과 그 프린팅과 절삭, 3D 프린팅 부분의 이미징과 그 기계적 테스트 그리고 전기적 특성을 통해 다기능을 소상히 연구한 것으로 반드시 살펴봐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우리나라의 3D 프린팅의 기술의 역사는 매우 일천하여 아직까지 이와 같은 필라멘드 재료에 관한 연구는 없다 하겠다. 3D 프린터를 수입하여 판매하기 위한 사용법 교육과 간단한 객체를 제품화 하여 판매하는 단계를 넘어 프린터 개발사업과 국제 시장참여를 위해서 가장 민감하고 복잡한 프린팅 재료(material)에 관한 연구에의 깊은 관심과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 저자
- John M. Gardner,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12()
- 잡지명
- Additive Manufactu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8~44
- 분석자
- 김*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