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광학용 액상접착제 조성물

전문가 제언

근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및 커버 패널 등 각 부재의 조립에는 광학 투명 접착제(OCA), 특히 필름 형태의 접착테이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필름 형태의 접착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정 자동화가 어렵고, 또한 이물질이나 공기층 등의 흡입에 의한 불량품 발생이나 고온, 다습 등의 환경조건에서 접착력이 감소하는 문제 등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층간 접착을 액상에서 실시한 후에 광경화를 통해 경화시킬 수 있는 재료 및 공정이 제안되고 있다.

이 발명은 고온 및 다습과 같은 가혹한 환경에서도 기포 및 헤이즈(haze)의 발생이나 접합면의 박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광학 투명 접착제를 제공한다. 특허청구범위를 보면, 특이한 점으로는 접착제 조성물에 용질로서 (메트)아크릴로일 올리고머의 부분 중합공정을 들 수 있다. 이 특허를 참고할 경우에는 이 특허의 접착제 조성뿐 아니라 출원인인 3M 그룹이 접착제 분야의 세계 선두그룹으로서 접착제 관련한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에 들어가는 광학 필름의 제조에는 제일모직, LG전자, 코오롱인더스트리, 효성 등 대기업에서부터 미래나노텍, 코아옵틱스, 잉크테크 등 중견 및 중소기업들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으며, SKC는 각종 광학 필름에 사용되는 원단(베이스 필름) 생산을 주도하고 있다. 한편, 광학 투명 접착제의 공급에는 Henkel이나 3M 등 다국적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으로는 LG하우시스, 율촌화학 등이 참여하고 있다.

금후 디스플레이 및 터치패널의 눈부신 진보와 함께 재료의 다양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향후 광학 투명 접착제의 개발방향은 단순한 접착제로서의 특성을 뛰어 넘어 우수한 광학특성, 고투명성 및 재작업성 등을 갖추어야 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또한 고온, 다습, 자외선 등에 대한 내환경성의 신뢰도를 높여야 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제조공정의 개발에 대응한 우수한 공정성을 가진 접착제 재료의 개발에도 진력해야 한다.

저자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US20160271915
잡지명
US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3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