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경피 약물전달 패치용 감압점착제 조성물

전문가 제언

피부를 통해서 약물을 전달하는 일명 패치라고도 불리는 경피 약물전달 시스템(TDDS)은 일회 부착에 의해 약효가 장기간 일정하게 지속되고 위장 자극을 일으키지 않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근래에 들어와 제약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TDDS는 피부에 잘 밀착하여 약물의 보관 및 피부에의 전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므로 이에 적합한 접착제 및 고분자 필름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 발명은 경피 약물전달 담체로서의 접착제 조성물 조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용 패치 또는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특허청구범위에서, 특이한 점으로는 접착제 조성물에 산화분해가 가능한 제약 활성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항산화제가 거의 불필요한 점을 들 수 있다. 이 특허를 참고할 경우에는 이 특허의 접착제 조성뿐 아니라 출원인인 3M 그룹이 접착제 분야의 세계 선두그룹으로서 접착제 관련한 특허를 다수로 출원하고 있기 때문에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

현재 TDDS용 접착제의 생산에는 미국의 Exxon, Dow Corning, National Starch, 일본의 Mitsubishi Chemical, 독일의 Rohm사 등 세계 유수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고분자 필름은 3M이 주도적으로 생산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SK케미컬이 무릎관절염 및 치매 치료용 패치를 생산하고 있다. 또한 삼진제약은 미국의 ImQuest사와 공동으로 에이즈 치료제 TDDS를 개발하고 있으며, 생산기술연구원에서는 능동형 패치를 개발하고 있다.

현재 TDDS가 개발된 지는 오래되었지만 TDDS의 기능발현 메커니즘이 약물의 수동적인 확산, 투과 및 흡수 현상에 의존하기 때문에 효율성에 한계가 있어 지금까지 실용화가 이루어진 약물의 수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향후의 개발과제로는 종래 TDDS의 기능발현 메커니즘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이온영동이나 초음파와 같은 외부 에너지에 의해 작동이 유발될 수 있는 능동형 스마트 패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TDDS용 접착제가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는 실온에서 항구적인 점성의 유지 및 피부에의 접합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 제거 시에는 피부에 통증을 유발하거나 잔류물을 남기지 않아야 한다.

저자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US20160271074
잡지명
US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1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