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산화탄소로부터 유용한 옥살산염으로 전환하기 위한 Cu 복합체 환원제

전문가 제언

대기 중의 CO2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구의 기후변화 및 기타 지구규모의 잠재적인 악영향이 초래됨에 따라 CO2 방출의 감축 및 활용방법의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그러나 CO2는 열역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CO2로부터 유용한 화학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높은 에너지를 가진 환원제나 외부로부터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2핵(binuclear) 금속/유기화합물(Cu 복합체) 환원제를 이용하여 대기(또는 다른 기체 흐름)로부터 CO2를 포집하고, 포집된 CO2온화한 조건에서 산화환원(redox) 사이클에 의해 유용한 옥살산염 및 옥살산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허청구 범위를 보면, 신규로 합성된 Cu(Ⅱ) 복합체를 온화한 환원제로서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을 이용하여 Cu(Ⅰ) 짝으로 환원하는 것이 특이점이다. 이 특허를 참고할 시에는 Cu 복합체 및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의 배합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국내의 경우, CO2 활용기술에 대한 연구는 KIST, 한국이산화탄소포집 및 처리연구개발센터(KCRC), 남부발전, 서강대, (주)테크윈 등 정부출연 연구소, 대학, 기업 등에서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국내에서의 연구과제로는 주로 이산화탄소를 활용한 전기화학적인 유기합성, 고분자 합성 분야에 대한 연구가 주축으로서 개미산이나 메탄올 등 유용한 화합물로 전환하는 기술에 치중되고 있으며, CO2로부터 옥살산염으로의 전환에 대한 논문은 아직 별로 없다.

향후 CO2의 이용기술은 순환형 사회의 구축이라는 관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의 감축은 이제 선택사항을 넘어서 기업의 존폐는 물론 인간생존과도 관련된 피할 수 없는 세계 각국의 의무사항으로 되고 있다. 앞으로 CO2를 경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술과제로는 적은 에너지로 CO2를 고부가가치의 유용한 화합물로 환원할 수 있는 고성능 촉매의 개발은 물론 대량의 CO2를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 등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Andrew W. MAVERICK, et al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US20160257702
잡지명
US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7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