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금속수소화물 용기와 합친 연료전지 스택

전문가 제언

 

자동차용 연료전지는 PEMFC를 사용한다. PEMFC를 자동차에 탑재하면 수소저장시스템도 소형화하여 자동차에 온보드로 탑재해야한다. 지금 각 나라가 이 문제를 두고 많은 연구를 하는데 US DOE에서 목표로 정하고 있는 1회 충전으로 가용한 거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 목표는 쉽게 얘기해서 가솔린차만큼 한번 주유하여 300km 이상을 달릴 수 있는 정도의 대등한 목표를 연료전지 자동차에도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금속 수소화물에 수소를 저장하는 것은 수소가 금속합금과 반응할 때 격렬한 화학반응이 아닌 흡수 정도로 느슨한 반응으로 저장물질에 달라붙어 있다가 방출할 때는 짧은 시간에 나와 신속한 전기화학 반응을 해주기를 바라는 것이다. 여기서 문제는 수소를 MH에 흡수시킬 때 단시간에 많은 양의 수소가 들어가주기를 기대한다. 그래서 흡착제 재료를 개발하는 것은 물론이고 또 수소흡수는 발열반응이어서 열을 뽑아주어야 한다.

 

또 수소를 방출할때는 흡열반응이라 가열해야한다. 이렇듯 금속수소화물의 수소저장은 열관리가 중요하여 이때 들고 나는 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자하는 연구가 이 논문이 보고하는 수소용기를 연료전지 스택 사이에 샌드위치로 끼워 넣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수소와 산소반응은 241.8kJ의 열을 발생하고 이중 135.4kJ/mol이 폐열로 되어 이를 효과적인 이용인데, 실험실에서 수제작한 장치들이라 유체이동 등에서 불균형으로 썩 결과는 좋아보이지는 않다.

 

그러나 구상은 괜찮아 보이며 앞으로 소재개발과 열/물관리를 보다 조직적, 효과적으로 수행하는지가 관건으로 보인다. 국내는 수소저장 금속수소화물에 관한 연구는 상당한 수준에 있다. 이 논문처럼 샌드위치형태의 구성은 보이지 않는다. 금속수소화물관련 연구는 기아/현대자동차의 금속수소화물계 수소저장, 삼성SDI에서 수소발생장치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등의 특허가 출원되어 있다.

저자
Zhixiang Liu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328()
잡지명
Journal of Power Sour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29~335
분석자
손*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