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기기 검출, 관리 및 원격제어기능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의 보안 강화 기술

전문가 제언

전 세계 컴퓨터시스템과 스마트미디어 기기에 malware(malicious software : 악성 소프트웨어)로 인한 악영향이 확산되고 있다. 컴퓨터 바이러스, 악성코드, 스파이웨어 등 다양한 보안위협 요인들이 수많은 컴퓨터 및 스마트기기 사용자의 데이터 및 개인정보 등을 해킹하여 중요한 정보 손실, 신원 도용을 통해 생산성의 손실과 아울러 경제적인 손실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 기술의 핵심은 IoT와 같은 근거리 로컬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레귤레이터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같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기기의 보안기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는 게이트웨이를 거쳐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모든 기기의 자동 기기검색을 통해 스마트폰에 종속된 제어구조로 인해 제어기능이 제한적인 웨어러블 기기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이 기술은 국내 웨어러블 기기-스마트폰 간 제어구조 설계분야에 커다란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데이터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직접적인 연동(inter-networking) 기능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스마트폰-네트워크 간 clear channel이 확보되어야 한다. 웨어러블 기기가 스마트폰의 종속된 제어구조를 벗어나 독립적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하다. 이에 이 특허기술과 같은 자동 기기검출, 관리 및 원격제어 기능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의 보안강화 기술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워치 시장은 APPLEGOOGLE이 글로벌 기술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상위5개 밴더의 20162분기 글로벌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32%(530만대) 감소한 330만대를 기록하였다. 특이한 점은 APPLE160만대로 1위를 차지하였지만, 상위 5개 벤더 중 전년 대비 출하량이 가장 많이 감소되었다는 점이다. 스마트워치용 동작인식 센서는 2017년에 60억 개 이상을 예상하고 있다. 이에 국내 웨어러블 센서 관련 업계의 글로벌 시장선점을 위한 특화된 기술력이 요구된다.

저자
BITDEFENDER IPR MANAGEMENT LTD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6
권(호)
WO20160093723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56
분석자
박*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