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중 감량과 건강의 미래 대안으로 식품의 당류와 감미료의 역할
- 전문가 제언
-
○ 단맛을 내는 감미료는 천연 감미료와 화학합성을 통해 얻어지는 인공 감미료로 구분할 수 있다. 천연 감미료는 높은 열량을 내는 문제가 있으며 화학적 인공 감미료는 열량은 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인체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보강하여 미생물을 통한 대사를 이용한 천연 저열량 감미료 등이 개발되었다.
○ bcc Research사가 2015년 6월 발간한 ‘Global Markets for Sugars and Sweeteners in Processed Foods and Beverages’에 의하면 2014년 전 세계 시장은 1069억에 이르며 성장률은 2.8%로 예상되어 2019년에는 122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Visiongain 2015년 3월 발행한 ‘Low-Calorie Sweeteners Market forecast 2015-2025’에 의하면 전 세계 시장에서 2015년 저 열량의 감미료 시장은 110억 달러에 이르며 추후 10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전 세계에서 활동 중인 선도 회사는 6개 회사로서 Tate & Lyle (영국), Ajinomoto (일본), DuPont (미국), Suedzucker (독일), Archer Daniels Midland (미국), Ingredion (미국) 등이 있다.
○ 국내에서도 삼양사에서는 알룰로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CJ 제일제당에서는 타가토스와 알룰로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현재 북미 지역으로 판매 중에 있다.
○ 국내에서 미생물을 활용한 천연 저열량 감미료 연구는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를 지니고 있으나 현재 사용 중인 설탕 및 과당 등과 비교할 때 유익한 점이 더 많은 것은 사실이므로 이에 대한 국민적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Cathrina H. Edwards, Megan Rossi, Christopher P. Corpe, Peter J. Butterworth, Peter R. Elli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6
- 권(호)
- 56()
- 잡지명
- Trends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58~166
- 분석자
- 고*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