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폴란드 농업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전문가 제언

신재생에너지는 폴란드의 에너지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 점진적으로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 농경지에 광대한 면적으로 인한, 상대적으로 많은 소와 돼지 생산, 그리고 잘 개발된 농-식품 산업으로서, 폴란드 신재생에너지의 주요 원천은 농업바이오매스이다.

본 연구 목적은 폴란드의 농업 바이오가스 생산 개발에 주심을 두고 있다. 고려된 사항에 주요목적은 기술적인 측면이 포함된 폴란드의 농업바이오가스 시장에 현상과 전망을 발표하는데 있었다.

분석결과에서 발표된 바와 같이, 농업바이오가스 생산은 2011- 2014년에서 137.29백만㎥ 증가되었다. 농업바이오가스 생산으로부터 기질의 소비 구조는 농-식품산업의 생산품을 폭넓게 사용하는 방향으로 변환되었다.

폴란드의 현재 농업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전체용량은 연간 244,156,466㎥ 이고, 농업 바이오가스 시설에서 바이오가스 이용은 폴란드의 분산전력생성이 점점 더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되었다.

우리나라 농업바이오가스 시설에 관한 연구(홍 지형, 한국농공학회지 35권3호)에서 조사대상농가의 메탄 발효조 실제용량은 설정용량의 73%에 수준이며, 순수 이용가스의 실제 이용비율은 62% 정도이고, 소형재래식은 그보다 더 낮은 20 - 29% 수준에 있었다.

우리나라 농업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이용에 현재 가장 시급한 과제는 축분과 음식쓰레기 또는 도축폐기물 등과 혼합소화처리 및 소화액 재활용(가스연료화, 액비화, 미생물연료전지, 고농도 질소와 인 회수, 미세조류생산, 유기성미생물 오염 방지 등)에 관한 대책 마련이다.

한국정부는 농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해서 농업 바이오가스 생산 시설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2020년에 30개소 농업 바이오가스 생산을 유치하여 한국농업과 애그리비즈니스 발전에 총력 질주 하고 있었다.

저자
Arkadiusz Piwowar,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58()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9~74
분석자
홍*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