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축분 퇴비화 부식질에 바이오차 첨가의 영향

전문가 제언

퇴비화 과정에서 부식질 화학적 분해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축분 퇴비화 매트릭스에 바이오차 적용(10%v/v)을 조사한바, HA와 FA부분의 특성을, 두 개의 상이한 축분(계분: PM 및 우분: CM) 퇴비 혼합물에서 분석하였다.

축분 퇴비/바이오차 혼합물(PM+B와 CM+B)은 열중량 분석결과에서, 축분 퇴비/바이오차 혼합물(PM+B와 CM+B)의 HA와 FA의 탄소함량은 PM과 CM 탄소보다 높게 나타났다. 퇴비화 혼합물에 바이오차 첨가는 최종퇴비 질(quality), 특히, FA를 개선하였다.

퇴비화처리는 유기물을 부식질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초기에 60℃ 정도의 고온 상태에서 상온으로 유지하면서, 양질 퇴비를 얻는 것이며, 바이오차는 유기물을 저속 열분해하여 생성된 탄화물로, 이것은 토양 유기물 분해속도를 늦추고, 대기 중에 탄소배출을 저감한다.

바이오차를 첨가한 토양은 토양 호흡량이 증가하고, 이산화탄소 발생이 감소하고, 산성토양 개량효과가 있어 화학비료 대체물질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바이오차의 특성은 부식질 첨가에 유사한 효과가 있었다.

임 정은 외(2015) 등의 “폐자원이용 중금속 오염 토양안정화에 리뷰”(한국 응용생명 화학회 58권2호)에서 토양중금속 안정화를 위해서 농축산 바이오매스 폐기물, 알칼리물질(석회 등), 인 함유물질(인산용액, 인광석), 퇴비, 축분, 바이오차 및 제오 라이트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장기적인 안정성 및 현장 적용성 평가가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신 중두 외(2013) 등의 “옥수수재배에서 축분 퇴비와 바이오차 시비”(한국유기자원학회, 포스터 발표)에서 옥수수재배 포장에 바이오차(토양무게2%)와 호기성액비(10톤/10a)의 혼합시비 성과에서 토양무기탄소량이 평균146kg/10a 증가되고, 질소무기화와 질산화비율은 낮게 나타났다고 발표한바 있었다.

저자
Keiji Jind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49()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45~552
분석자
홍*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