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계분 퇴비화시설의 암모니아 배출

전문가 제언

퇴비화시설은 대부분 미국의 계분 벨트형 (MB: manure belt) 계사에서 필수적 부분이지만, 암모니아 농도와 배출은 잘 알지 못하고 있으며, 이것은 산란계농장 작업 안전에 영향을 끼치고, 암모니아 완화와 관리 전략에 발전에 제약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상업용 계분퇴비화시설에서 암모니아농도와 암탉 마리당 배출비율 등을 수량화하고 하루와 계절별 변동을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4개의 계분벨트 레이어 계사에서 계분이 수집 운반되고, 122 cm의 배기 팬 12개가 딸린 두 개의 대형 턴넬형 통기 퇴비화시설에서 암모니아 모니터링 연구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퇴비화시설에 흡입과 배출 암모니아농도는 2개년동안에 계절별로 1개월간 반연속적으로 모니터하였고, 암모니아배출비율은 암모니아 농도와 계사 통기비율에 의해 산정되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에 하루 평균 암모니아 농도는 각각 114± 20, 144± 35, 115 ± 13 및 141± 25 ppmv 등 이었으며, 하루 및 계절에 변동은 암모니아 농도와 배출비율에 의해 좌우되었고, 주간에 암모니아배출비율은 야간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전업규모 양계시설이 늘어나게 되니, 악취문제를 심각하게 대비하여야하며, 계분은 퇴비화시설이 바림직하다. 퇴비화 시설에 암모니아 배출은 현저하게 높아서, 장래에는 전체 MB레이어 시스템에 암모니아 저감 및 완화 대책이 요청되었다.

우리나라는 곽 종훈 등(2010년)은 종형 산란계분 퇴비화 특성조사에서 퇴비화온도 수분, 퇴비성분 등을 발표하였으나, 계분 퇴비화 암모니아가스 농도에 관한 성과는 없었다. 계분처리장과 계사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농도는 계분의 적정관리, 수분, 통풍, 환기, 계분퇴비 바이오필터 등으로 악취저감 실증사례를 보급하여 실용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저자
Lingying Zha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50()
잡지명
Biosystem 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9~78
분석자
홍*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