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공명 핵자기공명법을 이용한 유리의 구조 연구
- 전문가 제언
-
○ 결정구조(Crystalline)와 달리 단거리 질서만을 가지는 유리는 광학적으로 파장에 따른 다양한 성질과 열적 및 전기적으로 양질의 부도체 이다. 오랫동안 유리의 구조에 대한 연구는 Zachariasen, Warren, Goldschmidt 등의 많은 연구자들이 수행하여 왔다.
○ 유리의 물리적 상태를 실험하는 것은 기기의 발달에 따라 여러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분석대상에는 표면분석, 구조해석, 상태분석 등이 있으며 각기 적당한 기기가 조합되어 이용된다. 특히 구조에는 X-선 해석, 중성자 구조해석, NMR, ESR, 라만분석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고 있다.
○ 핵자기공명(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은 1946년에 Purcell과 Bloch가 동시에 개발하였다. 특히 NMR은 유리의 내부구조와 화학적 결합을 연구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붕소산화물에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류 산화물을 첨가한 유리의 구조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이 문헌은 NMR을 이용한 SiO2-B2O3-A12O3-Na2O계 유리의 구조연구에 관한 내용이다.
○ 재료의 기능에 대한 요구가 높아져서 고도화, 고정밀화 되고 있으며 유리재료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새로운 기능을 발현시키기 위하여서는 우선 많은 물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유리조성의 필요하며, 이는 하나하나를 실험으로 찾아내는 것보다 우선 설계를 하여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하는 방법이 빠른 방법이다.
○ 국내의 경우 유리구조 분석에서 NMR을 이용한 연구는 주로 석, 박사 학위논문이 많이 발표되었다. 또한 일반연구에서도 상당한 연구가 수행되어 이 분야에 관심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유리조성 개발에는 유리의 물리, 화학적 상태를 실험하는 것이 기본이다. 분석 및 측정기기의 발달로 적당한 기기를 조합하여 실험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국내에서 유리를 전공하는 연구자는 줄고 있으나, 신기능의 유리개발을 위해서 새로운 기기와 분석방법을 많이 활용하기를 바란다.
- 저자
- Takahiro Ohkubo ,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31(117)
- 잡지명
- ニュ-ガラス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8~32
- 분석자
- 김*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