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멜트 접착제 조성과 용도
- 전문가 제언
-
○ 본 특허의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는 나타나고 있지 않으나 향후 이 분야의 위생용 핫멜트 접착제의 기법이 채용될 경우에는 점차 영향이 크게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한 대책은 제반 위생용 핫멜트 기법을 개발하든지, 아니면 본 특허를 사용할 경우, 로이얼티를 지불하든지 하는 방법 중 선택의 여지가 남아있다.
○ 국내의 친환경 의료 위생용 각종 생활제품들이 생산될 것을 대비하기 위해서라면 아마도 이 분야의 저온용 핫멜트 접착제 제조기법이나 조성 물에 관한 특허권을 확보하는 것이 최선의 방안이 된다. 따라서 특허 권의 범주를 벗어나서 조성물 물질들의 선택이나 제조방법을 달리해서 발명특허를 신청하여 특허권을 취득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제언한다.
○ 국내 접착제 시장에서 현재 핫멜트형 접착제는 대략 10%내지 15%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나 용제들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는 장점들이 있어서 앞으로는 핫멜트형 접착제들의 사용이 더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 분야의 생산업체들이 약 70여개로 추정되어 상호 경쟁 속에 더욱 더 새로운 기술에 의한 조성물들이 가공 생산될 것이 예측된다.
○ 본 발명에서 제안된 특허권은 친환경 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저온 핫멜트 접착제로써 스프레이용으로 부착력이 좋고 결합력이 강하다. 그리고 접착을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는 핫멜트 접착제 생산을 위한 조성물의 특허권이다. 폴리프로피렌-폴리에틸렌 공중합물질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그 공중합체에 대부분이 프로필렌 성분이며 나머지는 에틸렌, 택티파이어, 무정형 알파올레핀, 왁스와 같은 안정제나 여타의 가소제들이 들어가도록 하는 내용의 특허권이 설정되어 있다.
○ 국내 시장에서 자체 기술에 의한 핫멜트 접착제들이 사용목적에 따라 충족되고는 있으나 아직 친환경 의료용 또는 위생용 생활제품들로써는 충족되고 있지 않다. 인체에 미치는 영역이므로 엄격한 품질검사나 심사기준 등이 까다로워서 FDA나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표준규격을 면밀히 검토하고 분석하여 준비할 것을 제언한다.
- 저자
- HENKEL IP & HOLDING GMBH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153663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0
- 분석자
- 성*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