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CaO-B2O3-SiO2 유리를 첨가한 BCZT계 무연 압전 세라믹스

전문가 제언

압전재료에 납(Pb) 성분이 필요한 이유는 압전정수를 높이기 위한 목적보다는 퀴리온도를 올리기 위한 목적이 우선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압전재료인 PZT(Pb-Zr-Ti)의 경우에는 온도가 상승하면 상변화의 경계(MPB: Morphotropic Phase Boundary)에서 결정격자가 약해지면서 압전정수가 올라간다. 이때 유전율도 최대값을 나타낸다. 즉 압전재료를 무연화하려면 퀴리온도를 올릴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무연계 압전재료는 바륨-티탄(Ba-Ti), 비스무트(Bi), 니오븀(Nb)계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비스무트(Bi)계 층상구조 화합물인 SrBi2Nb2O9(약칭; SBN)가 있다. 또 비스무트(Bi)계 페로브스카이트 구조(perovskite structure) 화합물인 (Bi0.5Na0.5)TiO3(약칭; BNT)(Bi0.5K0.5)TiO3(약칭; BKT)이 있다.

 

그 외 KNbO3-NaNbO3-LiNbO3계 화합물인 (K0.44Na0.52Li0.04)(Nb0.86 Ta0.10Sb0.04)O3(약칭; LF4)이나 KNbO3-NaNbO3계 재료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무연계 압전재료는 희유금속 재료를 사용함으로 원료가격이 PZT 재료에 비해서 대폭 상승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문헌은 상기의 무연 재료 중에서 바륨-티탄(Ba-Ti)계 화합물을 응용한 것이다. Ba(Ti0.8Zr0.2)O3-(Ba0.7Ca0.3)TiO3(약칭; BCZT) 화합물에 CaO-B2O3-SiO2(약칭; CBS) 유리를 첨가하여 유전특성과 압전성을 연구했다. 특히 CBS의 첨가량이 2.0wt%일 때 우수한 퀴리온도와 전기적 특성을 얻고, 소결온도도 낮출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압전재료는 미래산업인 로봇, MEMS, 등의 정밀기기에 응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 무연 압전재료에 대한 연구는 일본이 세계에서 가장 앞서 있었으나 최근에는 중국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전자부품연구원, 한국세라믹기술원, 및 학계에서 꾸준히 연구 중이나 괄목할 만한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
Yuanming Lai, Yiming Zeng, Xiaoli Tang, Huaiwu Zhang, Jiao Han, Zihan Huang, Hua S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42()
잡지명
Ceramics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2694~12700
분석자
허*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