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간세포 암종의 맞춤치료
- 전문가 제언
-
○ 지난 15년간 HCC 발병률이 2배로 증가 하였다. 만성 B형 감염환자가 극동지역 (한국, 중국, 일본 및 대만)에서 매년 500,000명씩 새 환자가 생긴다. 이중 일본에서는 HCC 환자가 70%에 달한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C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HCC환자 늘고 있다. 높은 비 알코올성 지방간 질병의 위험인자는 비만과 당뇨병으로 이들은 간암의 발생을 유발한다.
○ 다양한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발생되는 간염은 간의 괴사와 염증이 특징이다. 급성 간염은 무증상 또는 황달이 없는 경한 증상에서 심한 지속성 황달이나 전격성 간염에 이르는 다양한 임상 증상을 보인다. A형과 E형 간염 바이러스(HAV와 HEV)는 만성 간 손상의 직접적인 증거는 없으나, B형, D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HBV, HDV 와 HCV)는 지속 감염, 보균 상태, 만성 간 질환으로의 진행이 될 수 있으며 특히 HBV와 HCV에 의한 만성 간염과 간암과의 연관성은 증명된 바 있다.
○ 대부분의 고형종양과 달리 HCC의 발병률과 이에 의한 사망이 미국과 유럽에서 지난 세기 중에 증가하였다. 많은 환자들의 진행된 단계에서나 진단을 받아 새로운 치료체계 시스템이 필요하다. 타이로신 카나아제 저해제 (TKI) sorafenib가 HCC 환자에 임상효과기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이 약제에 반응이 없거나 내성이 생긴 환자에 다른 TKI, 즉 brivanib, everolimus 및 단일클론 항체 ramucirumab이 2차라인 치료제로 사용된다.
○ 서울대학교 정구흥교수의 2002년도 [국가RnD연구보고서] ‘간염 바이러스의 packaging 기작 연구를 기반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제 탐색 system 개발’이 있다. 이에 의하면, 최근 B형 간염 치료제의 개발 연구는 lamivudine과 같이 주로 역전사효소인 RnaseH의 활성을 저해하는 핵산계 합성물질들을 연구하고 있으나, editing 기능이 없는 HBV polymerase는 이러한 물질들에 대해서 쉽게 내성을 갖는 mutant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initiation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helix region에 대해 특정적으로 작용하는 drug을 개발하면, HBV에 효과적일 것이다.
- 저자
- Stephen L. Cha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45()
- 잡지명
- Cancer Treatment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7~86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