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백혈병 치료를 위한 siRNA 기반 RNAi 생명공학기술의 활용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생명체의 유전자 발현조절 기작의 하나로 RNAi(RNA interference)의 기능이 알려진 이후로 생명공학 관련 기초 및 응용연구에 이 기작반응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질환의 원인과 치료를 위한 RNAi 생명공학기술의 활용은 제약회사들의 표적이 되고 있다. 치료약물이 거의 불가능한 질환의 대체 치료제로 RNAi 생명공학기술이 이 질환들의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의 자료에 의하면 siRNA(small interence RNA) 기반 RNAi 기술로 치료제 개발을 진행하는 제약사 및 생명공학 산업체 수가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백혈병은 세포의 유전적인 변이로부터 유발되는 질환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350,000여 명이 백혈병으로 진단되고 있고, 이 중 약 250,000여 명이 이 병으로 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 10만 명당 약 5명 정도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현재의 백혈병 치료는 주로 화학약물, 방사선 및 골수이식 등의 치료요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의 치료요법은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치료요법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   현재의 백혈병 치료약물의 문제점을 보완하거나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수단으로서 siRNA 기반 RNAi 생명공학기술은 백혈병 치료를 위한 차세대 치료요법으로 상당한 관심을 받고 있다. 이 기술의 핵심은 RNAi가 전사 산물인 표적 mRNA나 혹은 번역과정의 어떤 특정 표적물과 결합됨으로써 관련된 반응을 진행되지 못하게 방해하는 반응 원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 기술은 내성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반응의 특이성과 적응성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백혈병 치료제를 표적으로 하는 siRNA 기반 RNAi 기술은 여러 선진국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다른 질환(C형 간염 등)을 표적으로 하여 이 기술의 활용이 시도되고 있다. RNAi 기술의 개발 초점은 새로운 분자표적물 동정, RNAi 전달시스템과 안전성의 개선에 맞추어져 있으며, 컴퓨터 시물레이션 활용성도 중요시 되고 있다. 따라서 백혈병 치료를 목표로 하는 RNAi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이러한 분야의 RNAi 기술개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Hasan Uluda?, Breanne Landry, Juliana Valencia-Serna, Remant-BahadurK.C., Deniz Menekseda? -Ero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21(9)
잡지명
Drug Discovery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412~1420
분석자
정*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