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에 기초한 퍼터베이션(perturbations) 프로파일링의 적용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에서 저자는 거대한 잠재적 충격을 주는 이미지에 기초한 프로파일링을 사용해서 얻어질 수 있는 일련의 적용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 분야에서의 연구는 원리증명에서 생물학적 발견으로 옳겨가고 있다. 즉 그들의 집합적 범위가 약 발견과 기능유전체학으로 넓어지고있다. 이와같이 현미경사용은 질적인 검정도구로부터 강력한 고성능 양적 형태로 옮겨지고 있다..
○ 생물학자들이 현미경이미지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극적인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실험이 소규모이거나 대용량이거나를 불문하고 이미지에서 생물학적 특성을 자동적으로 정량화하는 것이 지금 널리 확산되는 경향이다.
○ 지금 생물학분야에서는 또다른 혁명이 진행중인 것으로 보인다. 생물학자들이 측정하려는 특정한 표형형을 동정하기위해 자동화된 이미지분석을 사용하는 것 뿐만아니라 세포나 생물의 광범위하고 미묘한 특징을 포착하기위한 정확하고 민감한 도구로서 이용하는 전환기에 와있는 것으로 보인다.
○ 두가지 실험설계인 프로파일링과 스크리닝사이의 차이는 프로파일링은 샘플에서 가능한 한 많은 특성을 찾아내고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반면 스크리닝은 보통 두세개의 관심있는 알려진 특성을 수집하는데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 형태학적 프로파일링 또는 세포학적 프로파일링으로 알려진 이미지에 기초한 프로파일링에서 대용량의 양적인 형태학적 데이터가 추출된다. 목표는 적합한 컴퓨터모델을 사용해서 이 프로파일들에 의한 샘플가운데에서 생물학적으로 적절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동정하는 것이다.
○ 이미지에 기초한 프로파일링은 시스템즈생물학과 연계되어 특히 약 개발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프로파일링은 유전체학을 포함한 오믹스(-omics)의 발달과 더불어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저자
- Juan C.Caicedo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39()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34~142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