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동적 차입을 통한 약 개발 투자
- 전문가 제언
-
○ 저자는 약발견 투자를 위한 거대자금개념을 후보치료약 포트폴리오가 초기에 주로 주식에 의해 자금이 지원되고 그리고 자산이 성숙됨에 따라 부채가 점진적으로 흡수되고 현금흐름을 발생시키기 시작하는 역동적 차입을 가능하게하기 위해 확장하고 있다. 그리고 시간에 따라 변하는 부채또는 역동적 차입을 허용하는 거대자금의 개념을 확대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 역동적 차입은 비교할 수 있는 전주식금융 포트폴리오에 상당한 가치를 더해줄 수 있다. 그리고 부채상환을 위태롭게하거나 또는 주식투자가들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고 주식에 대한 수익을 올릴 수 있다.
○ 위험성 측정은 역동적 차입을 결정하는데 유용할 뿐만아니라 위험성의 변화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어떤 경우에도 유용하다. 예를들어 보증을 채택하는 자금운용구조에서 보증수수료가 시간에 따라 포트폴리오의 위험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역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 주식수익의 변동성은 정적인 자본구조를 가진 거대자금구조와 비교해서 낮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부채를 더 얻는 것은 과학적인 결과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왜냐하면 역동적인 접근에서 부가적인 빚은 포트폴리오가 기대한대로 진행되고 있을때만 필요하기 때문이다.
○ 역동적 차입을 하는 거대자금에서 주식수익의 보다높은 변동성은 전주식금융 포트폴리오와 비교할때보다 높은 기대주식수익을 동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금융증권화기술이 제약 포트폴리오구조에 더 도입된다면 주식수익에 상응하는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 이미 세계적인 제약회사들은 신약개발에있어서 연구분야 및 경영분야즉 연구개발비의 안정적인 조달을 위해 패러다임의 변화를 추구하고있으며 급변하는 시장환경에 적응하기위해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제약사들의 신약개발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는 신약개발투자를 위한 거대자본의 필요성이 국가와 국책연구기관에서 제기되고있으며 활발한 연구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 저자
- Vahid Montazerhodjat,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21(3)
- 잡지명
- Drug Discovery Toda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10~414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