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영국과 아일랜드에 출현한 복수의 다약제저항성 영균(Serratia marcescens)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박테리아의 집단구조를 밝히는 연구수행을 위해 혈류감염에
서 분리된 국가보유 다약제저항성 영균을 이용하였다. 여기서 특정클론
의 분화시기를 추정하고 항균제저항성의 유전적 기작을 동정하였다.
○ 영균은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광범위한 병원내 감염을 일으키는 그램음성 박테리아다. 다약제저항성 계통의 출현은 공중보건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영균의 전파를 막는 효과적인 수단을 마련하기위해서는 집단의 구조와 변이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전 유전체염기서열결정을 이용해서 혈류감염과 관련된 항균제저항성 영균의 집단구조와 항균제저항성 결정인자와 변이의 특성을 밝힌 것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 병원내 감염을 일으키는 다른 병원균처럼 영균감염으로 인한 병원성 증가는 항균제 사용의 증가와 연관이 있다. 그러나 이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영균에 대해서는 아직 불충분하다.
○ 장내세균과의 주요 병원균중 영균은 최근에서야 병원성을 가지는 종으로 인식이 되었기 때문에 현재까지 가장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종의 하나다.
○ 주위 환경과 임상에서 얻은 샘플에서 영균의 전 유전체염기서열결정이 이루어져 최근에는 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있게 되었다. 이 사실은 영균유전체가 고도로 동적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박테리아가 있는 환경의 다양성과 병원성을 나타낼 수 있는 조건이 되면 병을 일으키는 특성을 반영하고있는 것으로 보인다.
○ 병원감염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있으며 이를 방지하기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영균은 최근에 그 중요성이 밝혀져 여러나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영균이 특별히 문제되고있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지만 병원감염에 대한 문제는 끊임없이 제기되어온 문제다. 그러나 이에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아직 활발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저자
- Danesh Moradigaravand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26()
- 잡지명
- Genome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101~1109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