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반응물질 라이너 성형작약의 폭파 메커니즘과 거동

전문가 제언

성형작약은 콘 모양의 금속라이너를 화약의 힘으로 가속/충돌시켜 고속의 금속제트로 변환하는 화약장치로 대전차 무기의 탄두에 많이 이용된다. 제트의 표적 관통깊이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는 라이너 밀도, 표적 밀도, 제트의 길이, 제트 파단시간 등이다. 전차의 측면처럼 밀도가 높고 두꺼운 표적을 공격하고자 한다면 구리, 탄탈룸, 혹은 텅스텐/구리 합금 등 고밀도 고연성의 금속을 라이너 물질로 선택한다.

 

그러나 강화 콘크리트 건물이나 활주로처럼 강도가 높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얇은 표적을 공격할 경우에는 이차 파괴효과를 위해 다른 선택이 가능해진다. 이런 경우에 반응물질로 된 라이너를 사용하면 반응형 제트가 관통 중 혹은 관통 후에 활성화하여 관통구멍을 넓히거나 폭풍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하게된다. 따라서 탠덤 탄두의 살상효과를 높이거나 활주로 보수를 어렵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반응물질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탄탈룸, 텅스텐, 우라늄과 같은 금속 혹은 준금속 분말과 PTFE와 같은 형광폴리머(Fluoropolymer) 분말을 섞어 압축/소결 과정을 거쳐 고밀도로 고체화하여 만든다. 대표적인 반응물질은 Al/PTFE인데 비활성물질로 만든 파편이나 관통자에 비해 500% 정도의 살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보고서는 중국 Beijing Institute of TechnologyJ. Xiao 등이 Al/PTFE 반응물질을 사용하여 성형작약 라이너를 제조하고 콘크리트, 자갈, 흙으로 된 다층표적을 대상으로 폭파시험을 실시한 내용의 논문을 요약/분석한 것이다. 그들은 다층 콘크리트 표적에 대한 반응형 라이너의 파괴효과가 TNT3.4-7.8 배에 달하는 것으로 발표하였다.

 

우리나라의 성형작약 설계능력이나 고밀도 금속라이너 제작 능력은 상당히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반응형 라이너에 대해서는 아직 체계적 연구가 진행된 것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반응형 라이너를 개발하여 콘크리트 표적 파괴 무기나 탠덤 탄두의 선행 성형작약탄두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저자
J. Xiao, X. Zhang, Y. Wang, F. Xu, H. Wan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6
권(호)
41()
잡지명
Propellants, Explosives, Pyrotechn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612~617
분석자
송*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