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진공자외선/초음파/오존 공정에 의해 생물 처리된 섬유폐수에서 유기물의 산화 특성에 관한 연구

전문가 제언

독성유기물의 수중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생물학적으로 처리된(생물처리된) 섬유폐수를 처리함에 있어서 자외선광분해, 초음파방사와 오존으로 결합된 다중산화시스템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진공자외선/초음파/오존공정에 의해 생물처리된 섬유페수에서 유기물의 산화특성에 관한 연구를 주제로 하여 진공자외선/초음파/오존공정에서 유기물의 산화특성을 조사한다.

 

연구결과에서는 생물 처리된 섬유폐수는 잔류유해 유기물로 인해 수중환경에 대해 잠재적인 유해성을 불러 일으키고 있어 진공자외선, 초음파방사와 오존으로 결합된 다중산화시스템이 생물처리섬유폐수의 처리를 위해 구축되어 높은 유기물제거효율이 실현되었음이 제시되고 있다. 아울러, 진공자외선, 초음파와 오존의 결합이 가장 효율적인 공정인 것으로 입증되었고 염료, 화학적 산소요구량, 용존유기탄소, 자외선흡광도(254)의 제거율이 95.31%, 72.05%, 61.6%93.7%에 이르고 있다.

 

최근 생물처리된 섬유폐수에서 잔류 독성 유기물의 수중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많은 까다로운 처리 기술들이 개발되었고, 그 중에서 고도산화공정들과 그들의 결합된 공정들이 가장 중요한 기술이며 그 결합된 고도산화공정들이 난분해성 유해물질의 초강력적인 분해로 인해 일반적인 관심이 되었다. 오존은 효율적인 탈색으로 섬유폐수고도처리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섬유폐수의 정화가 불가능하여 오존과 다른 산화기술간의 결합공정이 섬유폐수고도처리에서 핵심이 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폐수처리분야가 정책적으로 선도되어 왔으나 산업폐수의 난분해성 독성 및 유해·오염물질을 고도로 처리하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기존의 물리적, 화학적,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그 처리가 쉽지 않으며, 특히 흡착, 응집 등의 활용과 함께 생물학적 처리법이 상당히 보급되어 있지만 처리 효과 적용기술이 선진국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산업폐수의 처리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자외선/초음파/오존방법의 결합공정기술개발과 그 활용이 촉진되어야 한다.

저자
Tian Ho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306()
잡지명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60~567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