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저장재료
- 전문가 제언
-
○ 현재, 수소저장합금은 가역적으로 수소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반응속도도 빠르고, 저장할 때 발열하며, 방출할 때에는 흡열을 동반하는 것과 같은 반응특성에 주목하여 에너지 변환기능을 가지는 재료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수소원자 혹은 기판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결정면(Ⅲ)에 배향된 수소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단결정 금속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발표했다[KR20150141139(A)-2015-12-17].
○ 이 발명에 의하면, 유일의 결정면(Ⅲ)에 배향된 수소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단결정 금속막은 박, 평면, 블록, 혹은 고가의 기판뿐만이 아니고 결정면 및 결정의 배향성을 가지는 금속 전구체로부터 수소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튜브와 같은 각종 형상에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도전율은 수소이온, 혹은 수소원자를 함유하는 것에 의하여 개선되었고, 이 발명으로 인하여 표시동작 칩, 반도체 장치, 리튬 2차 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 혹은 가스센서 재료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 본 발명의 청구사항 26에 있어서 수소화 가능재료는 금속, 금속합금 혹은 금속간화합물이 사용되며, 청구사항 27에 있어서 수소화 가능재료는 Li, Na, K, Rb, Cs, Mg, Ca, Sr, Ba, Sc, Y, Ti, Zr, Hf, V, Ta, La, Ce, Th, U, 혹은 Gd이고, 선호되는 것은 Ti, Zr, 혹은 Hf, 더욱 선호되는 것은 Ti이다. 또한, 청구사항 28에 있어서 수소화 가능재료 상에 적층되는 ⅡA족의 금속은 Pd, Pt, Ni, 혹은 이들의 조합이고, 청구사항 29에 있어서 Ti의 표면상에 적층되는 금속은 Pd라고 기재되어 있다.
○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메탄으로부터 고위 탄화수소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수소화물 재료(예를 들면, 금속)는 직접 C-H결합을 절단하고, C2 및 보다 큰 탄화수소의 생성을 위해서 조합시켜 얻어진 메틸라디칼을 가지는 수소화물(예를 들면, 금속수소화물)을 생성시키는 수소의 흡착을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의 관련기업도 환경 친화적이고 대체에너지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연료전지의 효율적인 수소에너지 저장방법에 대해서 철저하게 연구하고 개발해서 발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 저자
- Scott F. MITCHELL, Sugar Land, TX(US);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US20160214912
- 잡지명
- US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1
- 분석자
- 정*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