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복의 구색선정을 위한 특정 심리특성에 대한 평가
- 전문가 제언
-
○ 작업복은 신체와 주변 환경 사이에 격막 역할을 한다. 그것은 인체보호, 촉감 그리고 열뿐만 아니라 습기 관리와 관련하여 인간의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실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수분과 공기뿐만 아니라 수증기투과성과 관련하여, 시험 처리와 평가는 전체 옷과 인체모형의 활용에 대해 조사를 기초로 한다. 이들 시험은 습기, 수분 및 공기 관리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가용한 방법을 선정하여 수행한다.
○ 습기 적합성에 대한 평가는 수증기투과성, 수분 투과성 그리고 공기 투과성에 대한 측정을 기초로 한다. 수증기투과성 측정은 중량 측정 방법과 Permetest 시험 장치의 도움으로 피부 모델(skin model) 조사를 기초로 했다. 물방울(땀) 전이 측정은 수분 심지, 수분 완충뿐만 아니라 모세관작용 처리를 기초로 만들었다.
○ 조사는 인간 피부와 직물섬유를 나타내는 모델의 표면에 열과 습기의 흐름을 측정한다. Permetest 장치는 증기 저항뿐만 아니라 특정 직물 섬유에 대한 증기 투과성 특정에 사용한다. 측정은 시험 면적은 20cm2이고 공기 감소는 100Pa이다. 직물섬유는 여러 재료를 조합하여 7 가지를 만들었다. 표본 1,2,3은 유니폼 생산품이고 표본 4,5,6,7,은 작업 코트와 보일러 복 생산품이다. Permetest 장치로 측정한 수분 저항 결과, 가장 낮은 수분 저항을 지닌 섬유 표본은 최대 상대적 증기 투과성을 보이고 있다.
○ 가장 좋은 수증기투과성은 표본 1 그리고 표본 5에서 관측되었다. 표본2와 3은 가장 높은 홉인 측면에서 가장 좋은 재료로 판단 받았다. 표본 1과 같은 경우에, 수정된 소수성에 기인하여 어떤 액체 전이는 없었다. 공기 속력에 대한 측정 결과는 가장 높은 공기 투과성은 표본 2와 3에서 얻었다. 오늘날 옷은 패션보다 기능성을 더 중요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기능성을 재료 개발과정에서 인체보호, 촉감, 열, 공기 및 습기 등 시험으로 달성할 수 있다. 한국도 기능성 옷에 대한 시험 장비 개발, 기능 실험 방법 개발 그리고 기능 옷 디자인에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 저자
- Jela Legersk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136()
- 잡지명
- Procedia Enginee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27~232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