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시고형폐기물에서 나노산화아연의 침출과 걸러내기

전문가 제언

공업용 나노재료 상품과 매립지에 처분가능성이 광범위하게 퍼져있음에도 불구하고 고형폐기물 환경면에서 ENMs의 종말처리는 아직도 잘 이해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시선한 도시고형폐기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ENMs 가운데 나노 ZnO의 침출 작용을 조사한다. l

연구 재료로 신선한 혼합 MSW표본을 가정폐기물에서 수집하여 버린 위생매립지서 얻고, 실험하기 전에 표본은 잘게 설고 동질이 되게 섞고 크기를 5-10cm로 작게 만들었다. 나노분말 ZnO와 분산 ZnO 그리고 평균입자크기는 제조회사에서 제공받았고. 겉 입힌(coated) 나노분말 ZnO도 제조회사로부터 구했다.

도시고형물 표본을 채운 회분식 반응조에 나노 ZnO의 세 가지 다른 형태를 첨가했다. ZnO 침출은 산성, 기본 그리고 증강된 이온강도 하에 점검을 했다. 회분식 반응조에 250g MSW를 채우고 탈이온수 300ml로 채웠다. 실험 농도는 각각 0, 25 그리고 100mg/L 나노-ZnO였다. 100mg/L 나노-ZnO 저장용액은 탈이온수 다음에 30분 음파 처리하여 나노 ZnO에 추가하여 실험준비를 했다.

3일간 배치시험 결과는 추가된 나노-ZnO 질량의 백분율은 세 가지 나노-ZnO 실험에 대해 평균 80%와 90% 범위 이내에 고형폐기물 매트릭스 내 유지하고 있었다. pH 그리고 이온강도 조건은 ZnO 침출 행태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MSW 매트릭스에서 ZnO 행태를 더 분석하기 위해 운동입자 퇴적/분견 모델은 개발해서 배치실험의 주 추세를 재생할 수 있었다. 배치시험에 대한 반응기 일정율은 0.01부터 0.41/시간 범위였고, MSW 매트릭스 내 빠른 나노-ZnO 퇴적을 보여주었다.

현재 한국에서 나노물질 유해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이를 제거하는 연구는 거의 되지 않고 있다. 앞으로 MSW 내 ENMs의 장기적 행태를 밝히는 물리적 기반 수리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wasteT. Sakallioglu,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317()
잡지명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19~326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