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도장에서의 환경 부하 감소 대책
- 전문가 제언
-
○ 도료는 도장의 얇은 막으로서 대상 재료의 보호, 각종 기능의 부여, 품질의 유지 및 내구성, 외관, 디자인성 등 다양한 요구 특성을 맞춰 부가가치 향상 등의 역할을 맡고 있다. 또한 도장은 자동차, 전기부품, 기계, 펄도 차량, 선박, 건축물, 교량 등의 구조물로부터 우리 주변의 제품, 가구, 목공예품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 본 문헌에서는 일본 Nissan 자동차 도장 공장에서의 CO2 배출량 감소 기술의 사례를 소개한다. 도장 공정 중에서도 가장 CO2 배출량이 큰 도장 부스의 주요 대책인 풍량 감소와 소요 에너지 감소에 관한 구체적 내용과 소형화에 대한 Nissan의 기술 개발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모든 내용 역시 재료 기술과 공법 기술이 합해져야 CO2 배출량의 대폭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말할 수 있다.
○ CO2 배출량 감소의 사회적 요청은 매우 크다. 자동차 회사를 포함한 관련 화합물을 취급하는 각 분야에서 장기적인 CO2 배출량 감소에 대하여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향후에 고차원의 돌파구에 의해 재료와 공법의 조합에 의한 기술개발이 가속화 되고 제조의 혁신이 되는 신기술의 등장이 기대된다.
○ 한국의 자동차 제조기술은 다 아는 바와 같이 세계 첨단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위에 소개한 Nissan의 노력 등도 다 섭렵하고 또한 앞서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된다. 도장의 경우 이에 필요한 도료는 페인트회사가 담당해야 하는 부분이다. 이에 따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 한국 정부의 에너지 관련부처는 2016년 2월 향후 5년 내 청정에너지 연구개발 공공투자를 두 배로 확대(3조원 규모) 계획을 밝혔다. 청정에너지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저감과 재활용을 위한 새로운 수단”의 하나로서 유용물질로의 변환기술에 대한 산학연 공동 연구가 적극화되어야 할 것이다. 기술개발 및 경제성 등에서 아직은 불투명한 관계로 민감 기업이 주도적으로 하기에는 시기상조로 보인다.
- 저자
- Shodou Hirosh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64(4)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5~69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