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래의 주택에 적합한 난방과 급탕 시스템

전문가 제언

다종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미래의 주택에 걸맞은 생활을 추구하기 위한 냉?난방과 급탕기술도 다종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미래의 주택에 대한 거주인의 냉?난방에 관한 기본적인 주요 요구사항은 에너지 절감과 쾌적성 유지로서 현재의 주택에 대한 사회적 여건과 별반 차이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에너지 절감을 억지로 참고 견디거나 쾌적성을 훼손하면서 실천하는 미래의 주택 환경은 상상하기 어려울 것이다.

미래 주택의 냉?난방에는 쾌적성 유지가 에너지 절감에 우선하여 강조될 것이며, 이와 함께 삶의 편의를 위한 기기의 원격 조작, 긴급시의 용이한 대응, 환경보호를 위한 대체 에너지의 활용 등의 중요성도 반영될 것이다. 한편 본고에서 소개한 일본 Rinnai사의 “하이브리드 난방?급탕 시스템”의 모델은 상기의 내용에 부합되는 측면이 많다.

이와 함께, 이 하이브리드 난방?급탕 시스템은 HEMS(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가정에너지관리시스템) 정보망과 연결할 예정이다. 그런데 일본 정부는 현재 HEMS를 통하여 가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감시 화면에 가시화하거나 자동제어를 시행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유도?관리하고 있으며, 2030년 까지는 모든 주택에 HEMS를 설치할 계획을 하고 있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최근에 냉?난방의 에너지 절감은 물론 쾌적성 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주거환경의 쾌적성 확보를 위하여 PMV(Predicted Mean Vote: 예상평균쾌감신고)에 대한 국제표준화기구의 개념(ISO 7730)에 대한 연구가 한국에너지연구원 등에서 이뤄지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가전기기 업계를 중심으로 홈오토메이션 환경도 많이 구축되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 소개한 일본의 사례 “미래의 주택에 적합한 난방과 급탕 시스템”은 우리나라의 미래 주택 에너지 소비 환경 구축에 참고할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SOBUE T.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6
권(호)
91(1063)
잡지명
冷凍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331~336
분석자
조*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