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AZ31합금의 집합조직과 상온성형성에 미치는 ECAP 가공경로의 영향

전문가 제언

hcp결정구조에서 오는 Mg합금의 불량한 상온성형성과 가공 시에 형성되는 집합조직으로 인한 소성이방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ECAP법의 유효성이 2001년 Mukai들에 의해 발표된 이래 많은 Mg합금에 대하여 가공온도, 등통로교차각 등 공정요인의 영향이 적극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특히 Jufu들은 2패스 ECAE(등통로각압출법)에서 1패스 후에 재료의 장입방향을 바꾸는 방법으로 AZ91D합금에서 339 MPa의 높은 인장강도를 달성하였다(J. Mater. Proc. Tech. 210, 751~758, 2010).

 

ECAP법에서도 가공패스 별로 장입방향을 변경하면 전단변형 패턴에 변화를 가져와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AZ31합금 박판(두께 2㎜)의 ECAP가공에서 판재의 가공경로를 Route A(제1, 제2패스 PD//RD로 동일), Route C(제2패스에서 180°회전), Route D(제2패스에서 90°회전)와 같이 변경하여 가공경로가 집합조직의 형성과 상온성형성을 위시한 기계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가공경로의 변경은 압연상태보다 YS와 소성변형비의 저하를 가져오지만 Route C에서는 집합조직이 약화되고 RD에서 최대의 균일연신과 상온성형성이 달성된다. Route D는 판재의 모든 방향에서 균일한 성형성을 보여 소성이방성이 해소된다. 이 외에 가공경로와 인장방향(RD, 45°, TD)에 따른 집합조직 및 기계적 성질의 변화, 슈미트 인자의 분석에 의한 슬립계와 쌍정의 영향을 심도 있게 고찰하고 있다. Mg합금의 ECAP연구는 주로 봉재나 각재가 대상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박판재를 대상으로 한 점도 디프드로잉 응용의 관점에서 돋보인다.

 

국내에서도 Mg합금의 ECAP가공 연구는 여러 건이 발표되어 왔으며 특히 홍익대에서 일찍이 AZ91합금에 적용한 연구(Acta Mater. 51, 3293-3307, 2003)와 AZ31합금에 적용한 연구(Mater. Sci. Eng. A, 385, 300-308, 2004)는 해외논문에서도 인용도가 높다. ECAP 가공경로의 적절한 설계는 Mg합금 판재의 상온성형성을 향상시키는 실용기술로서 발전이 기대되므로 국내연구의 활성화가 요망된다.

 

저자
Joungsik Suh, Josee Victoria-Hernandz, Dietmar Letzig, Roland Golle, Wolfram Volk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669()
잡지명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59~170
분석자
심*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