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빌딩의 구체축열에 의한 환경부하 저감

전문가 제언

구체축열 공조란 값이 싼 심야전력을 이용하여 빌딩의 본체(몸체) 혹은 몸체의 일부를 가열 혹은 냉각하여 낮 동안의 냉난방에 이 에너지를 활용하는 것이다. 공조가 이뤄지는 물리적 요인인 온도, 습도, 기류, 복사 중에서 일반적인 공조 설계에는 온도, 습도, 기류 등 3가지가 고려되지만, 구체축열 공조에서는 복사도 포함된 4가지 요소를 모두 고려할 수 있기 때문에, 쾌적성의 향상과 공조의 시동 부하 경감 등을 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빙축열 혹은 수축열 시스템과 병열 운전을 시행하면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종다양한 제로에너지빌딩(ZEB)의 에너지 절감 기술 중에서 선진국의 동향을 분석해 보면, 앞으로 ZEB의 핵심을 이룰 수 있도록 발전될 것으로 유망한 기술의 첫 번째로 구체축열 공조 시스템이 꼽히고 있다. 이 기술은 해외의 각종 기술문헌에 많이 소개되어 있어서 국내에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정부 차원에서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ZEB와 관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국내에서는 연구개발이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한편, 빌딩의 구체축열에 관련된 국제적인 용어는 아직 통일되지 않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쓰여지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정보검색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구체축열 공조 관련 연구개발을 위한 기본 혹은 최근 기술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thermally activated building system", "building thermal storage", "thermal storage in building frame", “concrete core activation system”, “slab heat storage" 등과 같은 주요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정부(국토교통부 주관)는 금년(2016년)에 ZEB에 대한 대국민 관심을 유발하여 친근하고 이해하기 쉬운 이미지를 만들 목적으로 “제로에너지빌딩 BI(Brand Identity) 공모전”을 추진하는 등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따라서 ZEB화에 반드시 필요한 공조부하 저감기술로서의 구체축열에 관한 기술발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저자
CHIKAMOTO T.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6
권(호)
90(5)
잡지명
空氣調和衛生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345~352
분석자
조*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