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2O, CO2 및 그 혼합매질에 의한 바이오촤 가스화: 반응에 따른 촤의 특성 변화
- 전문가 제언
-
○ 이 자료는 CO2, H2O 및 CO2/H2O 혼합가스의 3가지 가스화매질로서 바이오매스를 가스화할 때 그 결과를 분석하고 가스화 중의 촤의 표면화학, 구조 및 질감, 그리고 함유된 금속성분과 그 거동이 전반적인 가스화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있다.
○ 수증기와 산소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가스화매질이다. 산소가 바이오매스나 그 밖의 연료를 부분산화하면 여기서 생성된 에너지로 수증기가 연료와 반응하여 H2와 CO를 생산한다는 이론이다. 그러나 실제로 가스화반응은 매우 복잡하다.
○ 이 자료에서 산소를 가스화매질의 하나로 사용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수증기나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20%이고 나머지는 질소로 기술되어 있다. 이렇게 산소가 전혀 없는 경우의 가스화는 환원반응의 흡열반응인데 어떻게 열을 공급하는지 명확하게 설명되어 있지 않았다. 이 때는 반응성이 매우 낮을 수밖에 없는데 반응 지속성이 의심스럽다.
○ CO2와 O2를 가스화매질로 사용하는 가스화를 건식가스화라 한다. 온실가스인 CO2를 다시 한 번 연료로 이용한다는 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CO2 전환과 재사용의 장애는 일차적으로 경제성에 있다. 첫째 CO2 포획, 분리, 정제 및 수송비용, 둘째 CO2의 화학적 전환의 에너지 필요량, 셋째 시장규모의 제약으로 인한 투자동기 부족, 넷째 CO2 재사용 촉진의 사회경제적 동기 부족이다.
○ 우리나라의 바이오매스 가스화에 대한 연구는 생산기술연구원의 김영두 등이 2009년 발표한 “기포 유동층을 이용한 바이오매스 가스화 시스템 연구”가 있고 같은 해에 같은 연구원의 성연경, 최인환 등도 “Tube furnace를 이용한 바이오매스의 스팀 가스화 연구”를 발표한 바 있다. 그 밖에도 2010년 경남대학교의 이상천이 “바이오매스 가스화와 수소화 공정기술”을 발표하였다. 바이오매스 가스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자료도 그러한 연구들에 많은 참고가 될 수 있다.
- 저자
- Guizani, C.,Jeguirim, M., Gadiou, R., Sanz, F.J.E., Salvador, 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112()
- 잡지명
-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33~145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