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계방사법과 무전해도금법을 조합한 금속 혹은 금속화합물

전문가 제언

최근 복합재료의 기계적 계면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탄소섬유에 무전해 니켈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2001년 한국화학연구원에서는 폴리아닐린계의 탄소섬유를 에폭시 수지에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표면에 니켈-인 무전해 도금법을 개발하였다. 고탄성, 고강도 확보를 목적으로 탄소-탄소 복합재료, 탄소섬유 강화 시멘트(CFRC) 표면에도 내충격성과 연성, 인성이 뛰어난 니켈도금이 적합하다.

2012년 A. L. Yarin은 실험용 전계방사 장치로써 전계방사 제품의 대량생산을 위한 생산성 향상에 관한 보고를 하였다. 2014년 H. Nakamoto 등은 고분자-황, 불용성-황의 사슬형의 황을 전계방사법으로 섬유화 하였고, 이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황화동의 중공섬유를 제조했다. 이렇게 제조한 황화동이 피복된 황 섬유나 황화동의 중공섬유는 리튬이차전지용 정극재료로 사용할 t수 있으며 현재, 각국에서 활발히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미래에는 인간을 비롯하여 전자통신장비, 전자소자, 의료장비 및 군수장비 등, 전자파를 발생시키거나 전자파로부터 보호 받아야 하는 대상이 수많이 있다. 이러한 장비나 제품들이 국내 핵심뿌리산업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잇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전계방사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표면의 무전해 Ni-P, Ni-B 복합도금에 대한 기술개발이 향후 더욱더 가속화 될 전망이다.

2003년 성균관대학교에서는 전자파차폐 섬유소재의 제조방법과 정전기 장해 및 대응방안에 대하여 연구논문을 발표하였다. 여기에 무전해 니켈-인 복합도금을 실시한다면 더욱더 뛰어난 전자파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국내의 중소도금업체에 도금분야 전문가 활용을 통한 신소재 복합도금 표면처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국산 품질기술력 향상과 수출증대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Hiromori TSUTSUM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67(4)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87~191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