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무희토류(RE-free) Mg 가단합금의 기술개발 현황
- 전문가 제언
-
○ 최근 Mg 합금이 산업계에서 주목받고 있지만, 강도 면에서 Al 합금에 크게 떨어진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가지 새로운 Mg 합금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Mg 합금의 고강도화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희토류원소(Rare Earth Elements, REE)이지만, REE는 고가일 뿐 아니라 무겁기 때문에 너무 많이 첨가할 경우 Mg 합금의 비강도를 오히려 낮추는 역효과를 내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무희토류 또는 저희토류 고강도 Mg 합금의 개발이 바람직하다.
○ 본고에서는 과거 10 년간에 걸친 고강도 무희토류(rare earth-free) Mg 합금에 대한 연구 성과를 상세히 소개한다. 유망한 후보로 떠오르고 있는 Mg-Zn, Mg-Sn 및 Mg-Ca 계열의 합금들에 대해 설명하고, 그런 합금들을 고강도화하기 위한 등통로각처리, 차등속도압연, 고변형률압연, 비대칭압출, 사전처리(시효, 압연) 등의 다양한 가공기술들도 소개한다. 이런 방법들은 (i) -Mg 기지의 초미립화, (ii) 미세한 제2상의 다량 석출 및 (iii) 집합조직의 조절 등을 통하여 Mg 합금을 강화한다.
○ 고강도 무희토류 합금의 강화 방법은 다량의 미세한 제2상을 기지 내에 균일하게 석출시켜 석출경화, DRX 사이트 제공, 결정립미세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이런 합금 중 Mg-3.3Ca-3.5Al-0.4Mn(wt.%) 합금 압출재가 YS 410, UTS 420 MPa를 기록한 바 있다(Xu et al., Scr. Mater., 65, 2011, 269). 또 사전 냉간단조+압출 방식으로 Mg-8Sn- 1Al-1Zn 합금의 강도를 YS 387, UTS 403 MPa까지 높인 경우도 있다(Park et al., Scr. Mater., 69, 2013, 250).
○ 국내에서도 고강도 무희토류 Mg 합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합금의 경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Mg-Zn-Sn-Mn 계열, 연세대에서는 Mg-Ca와 Mg-Ca-Zn 계열 합금에 대한 논문들을 발표한 바 있다. 가공기술 면에서는 홍익대에서 SPD(ECAP, 고비율 차등속도압연), 재료연구소에서 사전처리(사전시효, 사전압연, 사전압출, 사전단조)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REE 자원이 없는 우리나라의 경우 앞으로도 이 분야의 연구에 대한 계속적 지원이 필요하다.
- 저자
- H. Pan, Y. Ren, H. Fu, H. Zhao, L. Wang, X. Meng, G. Qi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663()
- 잡지명
-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21~331
- 분석자
- 심*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