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송 품질향상을 실현하는 SaaS형 운행관리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물류 사업자를 중심으로 수배송에서 안전·품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안전은 안전 운전의 지원을 말하며 품질은 도착 시각 엄수, 수송 중의 적정 온도의 유지, 그리고 화물 붕괴 방지 등을 가리킨다. 최근에는 기습 호우나 전례 없는 폭설 등 기상 이변에 의해 도로 사정이 악화되어 목적지까지 화물을 운송할 수 없는 사태도 다수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물류 사업자에게는 수송 효율의 향상이 필요하며 수배송에서는 안전 운전 지원과 운송품질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 스마트 장치의 기능과 통신 성능의 대폭적인 발전으로 현장에서 대량의 정보를 처리하고 전송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졌다. 이러한 스마트 장치를 플랫폼으로 각종 센서, 기기,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기존의 디지털 태코그래프보다 저비용으로 수배송의 안전 운전 지원과 운송 품질을 보장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 차세대 신운행 관리 솔루션이 구축되었다. 이 문헌에서는 스마트 장치와 각종 센서의 연계로 안전 운전과 품질을 향상하는 기술을 소개한다.
○ 미국, EU, 일본 등 세계 주요국은 물류관리 혁신의 일환으로 첨단 운송관리와 새로운 안전운전 지원 기술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여 상용화하고 있다. 국내는 안전운전 지원 기술은 개별 단말기 별로 개발되고 있으며 현 운행상태 정보만을 제공하는 수준이다. 또한 현재의 운송 관리 시스템은 사업 차량에 다양한 단말기가 장착되어 있으나 연계가 안 되어 있으며 대규모 물류 업체와 대형 화물차 위주로 개발되어 소형 사업장 또는 소형 화물차는 이 시스템을 이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경제성장과 더불어 물류 산업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송관리와 안전운전 지원 기술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관련 업체와 연구기관은 스마트 장치에 의한 단말기 통합, 실시간 운송 관리 및 관제, 소형 화물차 운송 관리 기능 및 빅 데이터와 연계한 통합 운송관리 기술 개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운전자 상태 경보 시스템 등 첨단 안전운전 지원 기술 연구도 필요하다.
- 저자
- Kido Toshihiro,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67(2)
- 잡지명
- 雜誌FUJITSU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92~97
- 분석자
- 신*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