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음식 쓰레기 방지, 에너지 소비 및 식품 안전 연결: 식품안전의 다음 도전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많은 나라에서 해마다 몇 번씩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집단 식중독 사고가 일어나고 있다. 식품안전은 수십 년 동안 식품정책을 좌우하였다. 한편 요 근래 식품사슬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깊어졌다. 식품공급체계가 자원 소비, 생태계에 미치는 충격이나 에너지 소비와 건강과 사회적 평등에서 긍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지속가능성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식품안전 문제 관리에서 위험 분석은 가장 효과적인 도구로 인정받는다. 건강과 안전, 위험 통제를 위한 알맞은 수단의 식별과 시행이 위험예측 개발에 쓰인다. 또 표준 개발에 대한 지원과 개선뿐 아니라 식품 관리체계를 제시한다. 효과적인 의사결정과 더 나은 식품안전에 기여하고 공중건강 개선에 필요한 정보와 증거로 식품안전규정을 마련한다.

 

세계적으로 시민 의식이 음식 쓰레기 감소에 쏠리게 되었다. 경제적 부담뿐 아니라 도덕적 거부감도 작용한다. 식품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식품 냉장에 세계적으로 전기 소비의 약 15%가 쓰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정 손상 유기체의 역학 모델을 결합한 평가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주된 원인인 식품 손상을 고려한 연구는 거의 없다. 손상 모델을 결합하면 안전하지 못한 식품 비율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들에 비하여 음식 쓰레기를 훨씬 많이 배출한다. OECD 국가들의 평균치보다 훨씬 많으며, 전국적으로 음식 쓰레기가 날마다 1,600여 톤에 달한다. 해마다 약 3%씩 늘어나는데 우리나라의 푸짐한 상차림과 국물 음식을 좋아하는 음식문화, 인구와 세대 수 증가, 생활수준의 향상, 식생활의 고급화가 그 원인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음식 쓰레기 처리 방법이나 자원화 방안 같은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많다. 음식쓰레기 건조장치, 음식 쓰레기 처리법 및 장치에 대한 특허도 많다. 그렇지만 식품안전성과 지속 가능성을 음식 쓰레기 발생과 연결시킨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종합적인 연구와 대책 정립과 시행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저자
Laurent Guillier, Steven Duret, Hong-Minh Hoang, Denis Flick, Christophe Nguyen-The, Onrawee Laguerr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12()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Food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0~35
분석자
김*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