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호흡 모니터링을 위한 피부 부착식 신축성 센서 어레이

전문가 제언

 

 

인체의 굴곡진 부분에 적응할 수 있는 신축성 기기에 대한 관심은 근래 각종 웨어러블 기기의 등장과 함께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점차 다양한 기능성 기기를 범위에 포함하게 되면서 이제 일부 분야에서는 신축성 기기의 사용이 필수가 되는 추세에 있다. 의료·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활용이 한 예이다. 이 분야에서 국내외의 많은 특허가 나오는 것도 이 추세를 나타내는 증거이다.

 

이 논문은 신축성 기기의 다양한 활용 중에서도 신생 유아의 호흡 모니터링 기술에 특화되어 있다. 의료용 기술에서도 수요가 많은 다른 분야를 제쳐두고 발생빈도가 크지 않을 것 같은 호흡 문제를 갖고 태어나는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것에서 독일 의료기술의 진실성을 보는 듯 하다. 측정 감도와 착용의 편의성 등에서 이 기술은 임피던스 단층촬영 기술 같은 다른 호흡 모니터링 기술에 비하여 우수하다고 생각한다.

 

IT 기술에서 촉발된 웨어러블 신축성 기기에 대한 관심은 우리나라를 이 분야의 활발한 연구 중심으로 만들면서 매년 다양한 연구 논문과 특허가 나오고 있다. 심지어 최근에는 인체의 배설물 감지 및 처리기기까지 특허로 등록된 사례도 있다. 국내 대학으로서는 울산과기대의 고현엽 교수 팀이 활발한 학술 활동을 보인다. 신축성 전극 기반의 인공전자피부 개발에 역점을 두면서, 얼마 전에는 손가락피부 구조를 모사한 인공전자피부 개발을 발표하기도 했다.

 

고려대학교 표면나노공정연구실의 하정숙 교수팀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현재 맥박과 움직임 등을 감지하는 스트레처블 센서 시스템의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기업과 개인의 국내특허 출원도 활발하여 최근 국내 기업 MSP가 인체 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전극 장착 부위의 굴곡에 따른 신축성 응력 감지 시스템을 등록하였다.

 

이 기술의 정보조사 과정에서 보기 드물게 국내의 특허출원이 많은 것을 인지하였다. 그만큼 관심을 끄는 이머징 분야라는 의미일 것이다. 아무쪼록 우리나라가 이 분야의 기술개발을 선도해 나가길 기대한다.

 

  

저자
Eugen Koch, Andreas Dietze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6
권(호)
250()
잡지명
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138~144
분석자
은*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