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브라질의 소규모 태양광발전 및 풍력발전의 전력 생산량, 위치, 규모 및 부지 영향

전문가 제언

이 자료는 브라질의 Rio de JaneiroFortaleza 지역을 대상으로 중소규모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의 지역별 위치, 발전부지의 넓이 및 형태에 따라 연간 전력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태양광발전의 경우에는 부지의 위치와 방향 및 형태에 따라 일사량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연간 전력 생산량에서 큰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해당지역의 태양광발전 개발 잠재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태양광발전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부지별 태양에너지 잠재력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개발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 자료는 중소규모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의 개발계획을 세우는데 참고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 자료에서는 부지의 넓이와 형태를 제곱미터 단위로 64(8mx8m, 4mx16m), 100(10x10, 5x20), 2,500(50x50, 25x100), 4,900(70x70, 28x175) 10,000(100x100, 50x200)의 다섯 가지 종류로 나누고 또한 부지의 형태를 정사각형과 직사각형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있는데 독립형 중소규모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일반적인 부지 넓이와 형태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재생에너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발전을 장려하고 있으며 2012년 이전까지는 발전차액지원제도, 2012년 이후는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은 시스템의 규모뿐만 아니라 시스템이 위치하는 지역, 부지의 넓이와 형태 등에 따라 큰 영향을 받으므로 지역별로 이에 대한 표준적인 분석을 하여 일반에게 제공하면 재생에너지 개발자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이 좁아 더욱 효과적으로 토지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소규모의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의 경우에 이를 표준적인 방식의 기술적 분석과 단순한 행정절차로 손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만들면 재생에너지 개발이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Alan Emanuel Dualilibe Ribeiro, Mauricio Cardoso Arouca, Daniel Moreira Coelh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85()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54~563
분석자
신*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