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의 소규모 태양광발전 및 풍력발전의 전력 생산량, 위치, 규모 및 부지 영향
- 전문가 제언
-
○ 이 자료는 브라질의 Rio de Janeiro와 Fortaleza 지역을 대상으로 중소규모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의 지역별 위치, 발전부지의 넓이 및 형태에 따라 연간 전력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 태양광발전의 경우에는 부지의 위치와 방향 및 형태에 따라 일사량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연간 전력 생산량에서 큰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해당지역의 태양광발전 개발 잠재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태양광발전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부지별 태양에너지 잠재력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개발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 자료는 중소규모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의 개발계획을 세우는데 참고할 수 있는 자료이다.
○ 이 자료에서는 부지의 넓이와 형태를 제곱미터 단위로 64(8mx8m, 4mx16m), 100(10x10, 5x20), 2,500(50x50, 25x100), 4,900(70x70, 28x175) 및 10,000(100x100, 50x200)의 다섯 가지 종류로 나누고 또한 부지의 형태를 정사각형과 직사각형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있는데 독립형 중소규모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일반적인 부지 넓이와 형태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재생에너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발전을 장려하고 있으며 2012년 이전까지는 발전차액지원제도, 2012년 이후는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은 시스템의 규모뿐만 아니라 시스템이 위치하는 지역, 부지의 넓이와 형태 등에 따라 큰 영향을 받으므로 지역별로 이에 대한 표준적인 분석을 하여 일반에게 제공하면 재생에너지 개발자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이 좁아 더욱 효과적으로 토지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소규모의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의 경우에 이를 표준적인 방식의 기술적 분석과 단순한 행정절차로 손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만들면 재생에너지 개발이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Alan Emanuel Dualilibe Ribeiro, Mauricio Cardoso Arouca, Daniel Moreira Coelh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85()
- 잡지명
- Renewable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554~563
- 분석자
- 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