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름 개선 화장품
- 전문가 제언
-
○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이중결합을 티올기(-SH)로 가교하는 반응을 Michael 반응이라고 한다. 본 발명(출원: L'OREAL)은 폴리사카라이드에 결합한 (메타)아크릴레이트와 티올 그룹 간에 Michael 반응을 이용하여 가교하는 것이다. 이들 두 성분은 피부 표면에 도포되어 가교 고분자 막을 형성하여 피부의 수분 증산을 억제하고 피부를 수화시켜 주름을 일시적으로 안 보이게 하며 피부의 표정에 순응하는 탄성율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 주름개선은 무기안료 함유 화장품을 두껍게 도포하면 주름이 은폐되나 부자연스럽고 표정이 수축 및 신장을 일으켜 화장품 도포막에 주름이 형성된다. 빛의 난반사를 이용한 투명 입자의 처방 중 도입으로 주름을 은폐하는 방법은 소프트포커스로 알려져 있다. 근본적으로 피부 노화의 주범인 자외선을 차단하는 자외선차단제 화장품도 있다. 이외에 펩타이드를 진피층까지 침투시켜 진피 중의 콜라겐과 탄력섬유를 활성화, 증가시켜 주름을 개선하는 것이 있다.
○ MIT,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Living Proof, Olivo Lab은 피부와 탄성이 유사하며 백금 촉매 가교식의 피부 무자극성 실리콘계 고분자를 피부에 도포하여 일시적으로 피부를 조이고 수화를 강화하여 주름을 외관상 완화하는 화장품을 개발했다. Living Proof에서는 Soo-Young Kang이 참여했다. 이 반응은 본 발명과는 다른 가교반응으로 hydrosilylation반응이라고 한다. 본 연구논문은 Betty Yu, Soo-Young Kang et al, "An elastic second skin", Nature Materials, 15, 2016, pp.911?918에 게재되었다.
○ 본 발명에서 생각해야 할 것은 하나의 원리를 다양한 용도에 활용하는 창조적 사고방식을 키워야 하는 것이다. L'OREAL은 폴리사카라이드에 매달린 (메타)아크릴레이트와 티올 그룹 간에 Michael 반응, MIT는 실리콘의 hydrosilylation 가교반응을 화장품으로 사고방식을 확장한 것이다. 한국유화학회지 Vol.29 No.1, 2012, pp.19-32에 고종성이 작성한 “고분자 가교반응 시스템”이라는 표제의 리뷰가 있다.
- 저자
- L'OREAL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50788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2
- 분석자
- 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