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 미세구조 비파괴 분석용 X-선 마이크로 전산화 단층촬영기술

전문가 제언

1895년 X-선 발견과 1970년대 X-선 전산화 단층촬영법(CT, computed tomography)의 개발·임상적용 이후, 1991년에 첫 번째 X-선 마이크로 CT(μCT)가 녹색 토마토 숙성과정 고찰을 위한 식품과학 연구에 적용되었다.

 

식품의 미세구조는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현미경 관찰기술로 가시화될 수 있으나 이들은 파괴적인 시료준비 과정이 요구된다. 반면, X-선 μCT는 조직파괴를 하지 않는 비파괴성이며 시료준비 절차가 필요하지 않으며, 수백 나노미터의 높은 분해능으로 미세구조의 변화를 3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개관에서는 X-선 μCT의 기본원리와 시스템 및 영상화 처리와 분석 그리고 영상구조 분석에 대한 전반적 기술내용이 제공되었으며, 식품연구에의 적용성 및 전망이 제시되었다.

 

식품산업에서는 미세구조-제어 생산 및 안정성이 중요하다. 실험실 μCT 및 싱크로트론 시스템들이 더욱 일반화되면서 1 마이크론 규모로 3차원 영상화가 가능하게 되어 장래 식품산업에서 더욱 큰 역할을 하게 된다. X-선 μCT의 취약점에는 조작자 의존성과 시간·경비 제약 및 부정적 영상화 부산물 등이 포함되지만, 기기기술·전산성능의 발달이 식품과학을 위한 동 기술의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광학적·전자기학적·역학적 방법들에 의해 이물질 검출이나 숙성도 등에 대한 식품류의 품질이 판별되고 있으나, 방사선적 방법 특히 X-선 μCT에 의해 식품의 미세구조를 규명하는 식품산업 분야의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식품 미세구조 비파괴 분석용 X-선 마이크로 전산화 단층촬영기술에 대한 본 개관은 향후 국내 식품과학 및 관련기술 개발 분야의 성장을 위한 기술조감 구축에 적합한 기술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저자
Letitia Schoeman, Paul Williams, Anton du Plessis, Marena Manley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47()
잡지명
Trends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0~24
분석자
성*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