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심장혈관 PET-CT 영상화의 미개척분야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 보건복지부는 금년 12월 1일부터 4개 이상 심장 스텐트 시술 환자의 진료비 부담이 대폭 감소되고 암 진료용 F-18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18F-FDG-PET, (2-[18F]-fluoro-2-deoxy-D-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의 급여대상 암 종류가 확대될 전망으로서, 이로 인해 그동안 병기 설정 시에 비급여 대상이었던 비뇨기계 암(신장암, 전립선암, 방광암, 고환암 등), 자궁내막암 등의 환자가 보험급여 혜택을 받게 된다고 보도하였다. 그러나 심장혈관 질환은 제외되고 있다.

 

컴퓨터 단층촬영법(CT, computed tomography)에 심장혈관 PET가 연계된 PET-CT가 최근에 생체내의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학적 진행상태 모두를 동시에 탐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영상화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이 기술의 임상적 적용범위는 방대하지만 오늘날까지 이 기대는 실현되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가능성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 활동들이 진행 중이며, 가까운 장래에 중요한 진단 및 치료 결과들이 생산될 것이다.

 

본 개관에서는 심장혈관 PET-CT의 현황 및 장래 개발 방향이 기술적으로 조감되고 있다. 특히 PET-CT가 죽상경화(atherosclerotic) 및 심장판막(valvular) 심장병의 예후 계층화에 역할을 하는지의 여부가 불확실하며 차후의 영상화 연구들의 결과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대한영상의학회는 임상진료지침 개발에 적극 앞장서고 있으며, 대한의학회 및 관련 타학회와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하여 진료의 질을 높이는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바, 본문에 제시된 심장혈관 PET-CT 영상화의 미개척분야에 대한 현황 및 기술조감 자료는 이러한 활동에 좋은 정보가 될 것이다.

저자
P.D. Adamson, M.C. Williams, D.E. Newby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71()
잡지명
Clinical Rad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47~659
분석자
성*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