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CT의 새로운 지평선
- 전문가 제언
-
○ 최근까지 심장혈관 컴퓨터 단층촬영 혈관조영법(CCTA, cardiovascular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에서는 관-전류 변조와 자동 관-전위 선정 및 심전도-트리거와 반복적 재구축 기법들이 도입되면서 환자에 대한 방사선 피폭을 약 10배 정도로 저감시킬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 전산화 기술의 향상이 또한 CCTA 데이터로부터 분획혈류예비력(FFR, fractional flow reserve) 측정을 가능하게 해주는 동시에, 관상동맥 중재(coronary intervention)가 요구되는 환자를 선정하기 위해 파괴적으로 측정되는 FFR 측정을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 한편, 스캐너 하드웨어의 상당한 발달에 의해 이중-에너지 및 광자-계수 CT(dual-energy and photon-counting CT)가 도입되면서 성분 분해 영상화의 가능성이 실현되고 있으며, 이중-에너지 CT는 빔 경화를 저감시키면서 칼슘 적재량(calcium burden)이 높은 환자의 CCTA 및 더 우수한 심근 CT 관류 영상화(perfusion imaging)를 가능하게 해준다.
○ 차세대 CT 시스템들은 개별적 X-선 광자를 계산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광자-계수 CT가 유망한데, 이들에는 실질적으로 더 이상의 방사선 조사량 저감과 더 높은 공간해상도 및 완전히 새로운 등급을 지니는 조영제가 도입될 수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대한영상의학회와 대한의학회 및 기타 관련학회들이 협력하여 영상의학기술 진보에 의한 진료 품질향상 사업을 적극적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문에 제시된 심장 CT의 새로운 영역에 대한 기술 분석 자료는 국내 심장의학 분야 관계자들이 필히 파악하여야 할 중요한 첨단기술 정보의 하나가 될 것이다.
- 저자
- A.M. den Harder, M.J. Willemink, P.A. de Jong, A.M.R. Schilham, P. Rajiah, R.A.P. Takx, T. Leiner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71()
- 잡지명
- Clinical Rad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758~767
- 분석자
- 성*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