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GMO 분석에서 ddPCR과 실 시간 qPCR의 비교

전문가 제언

 

일반적으로 미국, 캐나다, 브라질 등 GMO를 경작, 개발, 수출하는 나라에서는 GMO가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위해하다는 증거가 없으므로 GMO 식품의 안정성을 주장하지만, 반면에 대표적으로 유럽연합(EU) 나라 등에서는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확실한 반증결과가 나올 때까지 사전 예방조치로 안정성평가의 강화 및 표시제시행 등의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 연구는 독일에서 나온 논문으로 유전자변형 식품·사료의 정량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옥수수, 대두 GM작물에서 GMO% 최대허용량을 훨씬 밑도는 GMO 함량으로 감소시키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은 대상 DNA의 증폭을 재래식 PCR처럼 반응이 끝나고 감시하는 것이 아니고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기술이다. 약어 “RT-PCR”“RT”“real-time”이 아니고 “reverse transcription”으로 보통 쓰일 때가 많기 때문에 “qPCR”로 표시해야 된다고 지침서에 나와 있다. 현재까지는 식품이나 사료에 GMO 사례의 검출이나 정량분석은 qPCR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최적표준으로 되어 있다.

 

비말디지털ddPCR 기술이 현재 까지는 GM 식품이나 GM 사료의 통상적 분석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이 연구에서 유전자변형 옥수수와 대두의 분석에서 qPCRddPCR 방법을 비교하고 ddPCR 분석기술이 재래식 qPCR에서 하지 못하는 장점을 부각시킨 것이다.

 

ddPCR은 물-오일 에멀션 비말을 이용하는 디지털 PCR이다. 비말은 물-오일 에멀션에서 template DNA 분자를 분리하는 분배를 형성한다. 재래식 PCR에서는 한 개의 샘플로 한 번만 측정을 하지만 ddPCR에서는 샘플이 수많은 나노 리터 크기의 비말로 분리되어 각각 측정된다.

 

국내 ddPCR기술을 이용하는 연구는 대학 R&D 전략지원과제로 항암제 동반진단키트 개발연구가 서울대에서 수행되고 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식육감별을 위한 multiplex PCR 개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저자
Azuka Iwob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69()
잡지명
Food Contro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05~213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