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알루론산 안정화제
- 전문가 제언
-
○ 본 발명(출원: Karen K. Brown)은 히알루론산 수용액 중 히알루론산의 작은 중합도로 분해되는 것을 구연산아연이 방지하는 보존제에 관한 것으로 천연 구연산의 아연염으로 소비자가 사용을 꺼리는 합성 보존제인 파라벤을 대체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한 것이다. 구연산아연은 치약, 마우스워시에 사용되고 있다.
○ 지중해의 식물인 S. chamaecyparissus의 추출성분인 spiroketalenol은 항균성이 있고 화장품 조성물 중 실온에서 안정한 것이 확인되었다. 추출용매는 메탄올이 적합하다(C. R. Chimie, 19, 2016, pp.1077-1089).
○ p-hydroxybenzoic acid, phenoxyethanol, imidazolidinyl urea와 같은 합성 보존제는 광범위한 세균과 곰팡이에 항균성이 있고 향, 색소, 기타 화장품 처방 중의 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수십년간 화장품 보존제로 이용되고 있다. paraben으로 알려진 4-hydroxybenzoic acid ester는 가장 많이 사용되어 온 화장품 보존제이다. 최근 에스트로겐과 유사작용으로 여성 유방암을 증가시키고 악성 흑색종의 발생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천연 보존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C. R. Chimie, 19, 2016, pp.1077-1089).
○ Transparency Market Research는 “Phenoxyethanol Preservatives Market - Global Industry Analysis, Size, Share, Growth, Trends and Forecast 2014 - 2020”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세계의 화장품업계에서 많이 사용되는 페녹시에탄올 보존제의 시장은 2013년 $95.8M이고 2020년 $143.2M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Focus on surfactants, October, 2015, pp.4).
○ 국내 제약업계에서는 점안액용 히알루론산 용액의 보존제로 벤잘코늄염화물을 사용하고 있다. 국내의 (주)아로마티카는 자몽씨, 녹차, 로즈마리, 고추냉이, 벤조인 팅쳐, 편백오일의 추출물의 혼합물로 된 천연보존제를 개발했다(등록번호 10-0723906-0000).
- 저자
- Karen K. Brown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US20160120981
- 잡지명
- US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3
- 분석자
- 고*성
- 분석물
-